국제 국제일반

산유국·석유업체, 돈 넘쳐도 재투자안해 '눈총'

주요 산유국과 석유업체들이 고유가로 돈이 넘쳐나는데도 생산확대를 위한 재투자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 눈총을 사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최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주요 산유국과 석유업체 지도자 회의에서 증산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협조해줄 것을 호소했지만 참석자들의 반응은 무덤덤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26일 보도했다. 클로드 만딜 IEA사무총장은 오는 2030년까지 세계 석유수요는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생산능력증대에 해마다 2,100억달러를 투자해야 하지만 실제로는 이에 크게 못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물론 산유국들과 석유업체들은 고유가 덕택 등으로 이 정도는 충분히 투자할 수 있지만 이들의 올해 자본지출은 680억달러로 작년에 비해 8% 증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나마 비용상승분을 빼면 실질적인 생산능력 증대를 위한 투자는 극히 미미한 수준일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미국과 유럽의 6대 대형 석유업체들은 올해에만 무려 1,380억달러의 기록적인 수익을 올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도 말이다. 그러나 석유수출국기구(OPEC) 관리들을 비롯한 산유국 및 석유업체 관계자들은 IEA 회의에서 지난 1998년과 같은 유가폭락사태가 재연되지 않으리라는 법이 없다면서 “좀 더 상황을 지켜보겠다”고만 밝힐 뿐 투자증대에 적극성을 보이지 않고 있다. 세계 석유시장의 안정보다는 주주 눈치보기에 더 급급할 수 밖에 없는 ‘메이저’들은 위험성이 큰 새 유전개발에 거금을 투자했다 실패해 비난을 사기보다는 자사주 매입이나 배당금 증액을 통해 주주들의 환심을 사는 쪽을 택하고 있다. 6대 메이저의 올 자사주 매입액은 250억달러로 지난해의 두 배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