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김정태행장 연임 불가판정 놓고 국민銀 내부 찬반갈등

금융감독원의 김정태 국민은행장 ‘연임불가’ 발표 배경에 대해 의문이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김 행장 퇴진을 둘러싸고 국민은행 내부의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옛 주택은행 노조는 정부의 ‘신(新)관치금융’을 비판하며 김 행장의 연임을 주장한 반면 옛 국민은행 노조는 김 행장의 퇴진을 요구하고 나서면서 ‘노노(勞勞) 갈등’ 양상으로 비화되고 있다. 주택은행 노조는 27일 ‘금감원은 국민은행(KB) 흔들기를 즉각 중단하라’는 성명서를 통해 금감원이 국민은행에 대한 표적감사를 실시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주택은행 노조는 “오는 9월10일에야 열리는 제재심의위원회 결과에 대해 금감원이 최고경영자 문책이 가능하다고 설왕설래하는 것은 의도적인 KB 흔들기라고 볼 수밖에 없다”고 반발했다. 반면 국민은행 노조는 이날 오전 은행연합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김 행장의 퇴진을 요구했다. 국민은행 노조는 “현 국민은행 경영진이 국민은행 내 3개 노조에 금감원을 비판하고 관치금융에 반대한다는 내용의 성명서를 내달라고 요구했다”며 “기업의 도덕성을 해친 경영진과 협력할 수 없다”며 김 행장의 퇴진을 촉구했다. 국민은행 노조는 또 “필요하다면 김 행장의 부실경영 실태와 부도덕성에 대한 추가발표도 불사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회계기준 위반 파문으로 불거진 김 행장 연임불가 문제는 ‘친김정태’와 ‘반김정태’로 나뉘면서 지난 2001년 국민은행과 주택은행 통합 이후 최대의 위기를 맞게 됐다. 금융계에서는 양 은행 통합 이후 옛 주택은행 출신들이 사실상 국민은행 경영을 주도하면서 그 동안 쌓여왔던 옛 국민은행 출신들의 불만이 표출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또 국민은행 내부 갈등은 앞으로 전개될 경영진 교체과정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한 사전 포석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한편 금감원이 김 행장 연임불가 입장을 밝힌 것에 대해 감독당국의 일처리 과정이 뭔가 석연치 않다는 의혹이 일고 있다. 10여일 뒤면 제재심의위원회와 금융감독위원회 회의에서 김 행장에 대한 제재 여부가 결정되는데 의결권한이 없는 금감원이 앞서 김 행장의 연임은 불가능할 것이라고 밝혔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