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실업자 제외 "취지역행"비난

해외 우수 IT교육기관 연수사업지난 2일 정보통신부가 공고한 '해외우수 IT교육기관 파견교육사업'이 당초 취지와 기대와는 달리 실업자, 미취업자가 지원대상에서 사실상 제외돼 관련 사업자는 물론 지원 예정자를 실망시키고 있다. 당초 정통부와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은 당초 공고에서 실업자, 미취업자, 대학생 등 해외체류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로 1,000명을 선발, 1인당 500만원 한도내에서 교육비와 체류비의 50% 수준을 지원키로 하고 이를 수행할 사업자 접수를 받았다. 접수초기만 해도 대학생이 가장 후순위이어서 일부 대학교는 지원자체를 포기하려고 했지만 사업자 신청마감일 다가오면서는 오히려 정통부가 지원대상을 대학생으로만 축소한다는 소문이 흘러나오기도 했다. 이렇게 정통부가 갈팡질팡하는 양상을 보여주자 업계는 물론 정통부 일각과 이 사업을 공동추진하고 있는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측에서도 사업목적을 제대로 살릴 수 없다는 비난이 새나왔었다. 이후 업계의 사실진위 확인 요청에도 불구 담당 국장 및 팀장은 "원안대로 추진되고 있으며 사업자 선정은 평가위원단에서 알아서 할 일이다"고 못 박던 정통부가 2일 사업자로 성공회대학교와 한국정보통신대학원대학교 단 2곳만을 선정해 국제경쟁력 있는 IT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이들의 취업을 촉진한다는 사업목적 훼손은 물론 지원대상자를 사실상 대학생으로 국한했다. 손 홍 정통부 정보통신정책국 국장은 "해외에서 연수하는 만큼 안전성을 가장 크게 고려해 이렇게 결정했다"며 "실업자와 미취업자의 경우 반드시 해외연수가 아닌 다른 방법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업계 한 관계자는 "정책이 이렇게 금방 바뀔 수 있는 지 정부의 정책 수립과정이 정말 궁금하다"며 "그 동안 관심을 보여준 지원 대상자들과 해외제휴 파트너를 대할 면목이 없어졌다"고 말했다. 이번에 선정된 대학 2곳외 10여개의 민간사업자들중 일부는 "이 사업공고 후 하루에만 20~30통의 전화를 받아 왔으며 일부 지원 예정자는 직장까지 포기하고 지원하겠다는 열성을 보여줬다"고 업계는 전했다. 일부 네티즌은 사업자 선정이 발표된 2일에도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홈페이지에 "대학 재학생이 아닌데 지원이 가능한지"를 질문하기도 했다. 또 다른 사업자는 "당초 정부의 지원계획이 유수의 해외교육기관과 제휴하는데 큰 힘이 됐다. 그러나 이젠 오히려 짐이 됐다"며 "대외신뢰도가 망가져 향후 제휴관계를 계속 유지해 갈 수 있을지도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조충제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