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서경 펀드 닥터] 국내주식형 강보합… 중소형 2.22% 상승


미국의 양적 완화 축소 연기가 기대되고 외국인 순매수가 40거래일 지속되면서 국내 주식형펀드도 플러스 수익을 이어갔다. 해외 주식형펀드는 중국에서 발생한 인민은행의 유동성 공급 중단 사태 여파로 수익률이 하락했다.

27일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25일 오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국내 주식형펀드는 한 주간 0.32% 상승하며 강보합을 기록했다. 코스피200 인덱스펀드의 수익률은 -0.14%로 소폭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코스닥지수는 한주간 1.82% 오르며 강세를 나타냈다. 중소형주 강세 속에 중소형주식펀드는 2.22%의 수익률로 주식형 중 가장 우수한 성과를 기록했다.


미국 양적완화 연기 기대로 국내 채권시장은 강세를 보였다. 외국인의 국채선물 순매수와 보험권이 국고10년물을 대량 매도하고 있다는 소문도 채권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 주간 중장기물 중심으로 채권금리가 하락세를 보이면서 국내 채권형펀드는 0.22% 상승했다. 국내 채권금리가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인 가운데, 국고채 1년물은 변동 없이 2.65%, 3년물ㆍ5년물 금리는 각각 0.04%포인트, 0.08%포인트 하락한 2.80%, 3.04%를 기록했다. 중기채권펀드가 0.33%의 수익률로 채권형 펀드 중 가장 양호한 성과를 냈다. 우량채권펀드와 일반채권펀드는 각각 0.18%, 0.17%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 밖에 일반주식혼합펀드와 일반채권혼합펀드는 각각 0.31%, 0.40% 상승했고 절대수익추구형 펀드인 채권알파와 시장중립펀드도 0.09%, 0.35% 상승했다.

해외주식펀드는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 증시의 호조에도 불구하고 중국발 규제 이슈 여파로 0.26% 하락했다. 국가별로는 글로벌 선진국에 투자하는 글로벌주식펀드는 1.91% 올랐고, 유럽지역에 투자하는 유럽주식펀드도 1.47% 상승했다.

북미주식펀드는 1.19% 올랐다. 예상보다 좋은 기업 실적이 발표된 가운데 지난 9월 노동부 비농업 취업자수가 예상치에 비해 크게 못 미치며 양적완화 축소 연기 기대감이 커지며 뉴욕증시 상승을 주도했기 때문이다.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이 "셧다운으로 인해 10월 취업자수가 급감할 것"이라는 전망을 발표한 것 또한 양적완화 축소 연기 기대감을 뒷받침하며 펀드 성과 상승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중국주식펀드는 규제 이슈에 따른 자금경색 우려로 1.07% 하락했다. 중국 인민은행의 유동성 공급 정책이 중단되면서 은행 간 대출금리인 시보(Shibor)금리가 급등하며 투심을 위축시켰다. 대형 은행들의 대손 충당금 급증에 따른 부담으로 중국 증시에서 차익매물이 늘어난 점도 악재였다. 4ㆍ4분기 대도시에서 부동산가격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정책이 시행될 것이라는 소식도 증시에 부정적으로 작용했으며 중소형주를 중심으로 한 지수 약세가 중국주식펀드 성과를 끌어내렸다.

이 밖에 일본 일본주식펀드가 0.49% 하락했고, 브라질주식펀드도 기준금리 인상 우려와 국제유가 약세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으로 -0.40%를 기록했다.

해외주식혼합형 펀드는 1.26% 상승했고, 해외채권혼합형 펀드와 해외부동산형 펀드 또한 각각 0.67%, 0.44%의 성과를 나타냈다. 해외채권형 펀드도 0.79% 상승했고 커머더티형 펀드는 0.97% 상승하며 전반적으로 양호한 모습을 나타냈다.





※ 본 자료는 단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조언이나 매매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본 자료의 내용은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며 이것으로부터 얻어진 결과에 대해서도 보증하지 않습니다.

관련기사



◇대상

순자산액이 100억원 이상인 펀드 대상, 1년수익률 상위순으로 나열.

◇유형구분

주 식 형: 약관상 최고 주식투자한도가 70%초과 펀드.

혼 합 형: 약관상 주식투자한도가 10~70%인 펀드.

채 권 형: 주식투자가 불가능하면서 채권, CP 등 채권형 자산에만 투자하는 시가평가 펀드.

해외주식형: 약관상 최고 주식투자한도가 70%를 초과하면서 투자가능 주식의 2/3이상을 해외주식(또는 해외특정 지역)에 투자하는 펀드. 크게 복합지역 투자형, 특정국가 투자형, 섹터주식 투자형으로 구분

자료제공: ZEROIN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