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日 경제시계 스톱… 세계 경제지형 급변

3·11 일본 대지진 한달


2011년 3월11일 오후2시46분, 일본 열도가 흔들렸다. 수십분 뒤 이와테(岩手)현과 미야기(宮城)현 등 동북부 지역에 대규모 쓰나미가 밀려들었다. 누구도 겪어보지 못한 규모 9.0의 대지진과 최고 높이 38m에 달하는 거대한 파도는 수만 명을 집어삼키고 도쿄 등 일본 주요 지역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후쿠시마(福島) 제1원자력발전소를 덮쳤다. 최악의 재앙 이후 한 달이 지난 지금, 일본의 깊은 상처는 아직 아물지 않고 있다. 회복흐름을 타기 시작하던 일본경제는 한달 전 그대로 얼어붙은 상태다. 원전 파괴에 따른 전력난과 생산설비 피해로 제조업체들은 아직 공장을 제대로 돌리지도 못하고 있고 정부는 25조 엔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는 경제손실 복구를 위한 재원마련계획도 확정하지 못한 상태다. 방사성 물질을 전세계로 뿜어낸 후쿠시마 제1원전 사태와 그에 대한 일본 정부의 대응은 일본에 대한 국제사회의 신뢰를 뿌리부터 흔들며 장기적으로 일본경제의 발목을 잡을 것으로 전망된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과거 일본경제를 위협하던 '3D', 즉 경기침체(Depression)ㆍ디플레이션(Deflation)ㆍ인구문제(Demography)를 대신해 대지진 이후 재해(Disaster)ㆍ국가부채(Debt)ㆍ불신(Distrust) 등 '신(新) 3D'가 새로운 불안요인으로 부상했다고 지적했다. 파장은 일본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세계 3위 경제국이자 선진기술의 메카이던 일본의 대규모 재해는 세계경제 흐름에도 커다란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일본산 부품 공급이 끊기면서 속수무책으로 생산에 차질을 빚은 세계 제조업계는 글로벌 부품 공급망 다변화에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후쿠시마 원전의 대재앙 이후 세계 각국에서 공격적으로 추진되던 원전건설 열기에는 급제동이 걸렸다. 엔화가 약세로 돌아서는 등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자금흐름의 변화도 감지되고 있다. 재앙을 당한 지 한 달, 아직은 대지진의 직접적인 피해규모도, 간접적인 파장도 가늠하기 어렵다. 일본 정부는 지진복구 비용이 '10조엔 이상' 소요될 것으로 추정하지만 일파만파로 확산되는 원전 피해로 실제 부담액은 눈덩이처럼 불어날 가능성이 높다. 지난 1995년 고베 대지진 당시에도 직접적 손실은 10조~13조엔이었지만 간접손실은 30조엔에 달했다. 가장 큰 문제는 일본발(發) 불확실성이다. 일본 대재앙이 이후 전세계 산업과 금융ㆍ에너지 지형이 어떻게 바뀔지는 여전히 안갯속이다.

관련기사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