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해외기업, 북한투자 잇따라 타진

홍콩 무역금융사들 투자 고려<br>英투자펀드는 자금모집 준비<br>카이로선 시멘트기업 인수도

북한 핵문제에 훈풍이 불면서 해외기업들의 북한 투자에 대한 의사 타진이 줄을 잇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23일 보도했다. 홍콩에서는 무역ㆍ금융 회사들이 북한에 대한 전략적 투자를 진지하게 고려하고 있으며, 런던에서는 한 투자펀드가 대북투자 자금 모집을 준비 중이다. 카이로에선 북한 시멘트기업에 대한 지분인수 절차가 진행 중이다. 베이징에 주재하고 있는 유럽의 고위 외교소식통은 “지금 사방에서 (대북투자에) 관심을 표명하는 문의를 받고 있다”며 “질문은 항상 ‘정말로 북한의 문이 열리는 것이냐’는 것으로 귀결된다”고 전했다. 홍콩 등 국제 금융시장에서는 북한이 마지막으로 ‘이머징 마켓’ 대열에 합류할 수 있을지를 점치는 장기전망 보고서가 작성되고 있다. 북한 내 유일한 외국계 은행인 대동신용은행의 콜린 매카스킬 대외협상 대표도 최근의 정세변화에 따라 새로운 투자기회를 모색 중이다. 영국에서 조선개발투자펀드(CDIF)를 운용하고 있는 매카스킬은 다음달 중순부터 런던 금융가에서 1억달러 규모의 대북 투자자금을 모집할 계획이다. 매카스킬 대표는 “미국의 금융제재 위협이 실질적으로 중단된 지금이 새로운 대북 투자기회를 찾기 위한 적기”라고 말했다. 이 펀드는 북한에 풍부하게 매장된 금ㆍ은ㆍ구리ㆍ철광석ㆍ마그네슘 등 광물자원 투자에 집중하면서 북한의 금융분야 투자에도 눈을 돌리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 이집트의 시멘트제조 및 건설업체인 오라스콤(OCI)이 북한 상원시멘트에 1억1,500만달러(약 1,055억원)를 투자, 지분의 50%를 취득하는 계약서에 서명했다. 전직 세계은행 소속의 북한경제 전문가인 브래들리 밥슨은 “최근의 상황이 북한의 내부 개혁을 의미하는 것인지 말하기는 이르다”면서도 “북한의 개혁ㆍ개방을 의미 있게 하려면 다른 어떤 분야보다 금융시스템 구축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