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의 특사로 평양을 방문한 탕자쉬안(唐家璇) 국무위원이 예상 외로 빨리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만난 것을 두고 외교 전문가들 사이에서 여러 가지 해석이 나오고 있다.
김 위원장이 지난 7월 미사일 시험발사 후 평양을 찾은 후이량위(回良玉) 부총리를 만나주지 않은 것과 비교할 때 도착 하루 뒤 면담을 허락한 것은 일단 긍정적인 신호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후이 부총리는 당시 ‘조중 우호협력 및 상호원조 조약’ 체결 45돌 기념행사 참석차 방북했지만 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야기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견된 사실상의 특사였다.
김 위원장이 선뜻 탕 특사를 맞은 배경에는 그가 들고 온 보따리 안에 든 내용물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지금까지 쓴 적이 없는 핵실험이라는 초강경 카드를 던진 김 위원장으로서는 미국이 어떤 제안을 했고 중국은 어떤 중재안을 가져왔는지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라는 이야기다. 탕 특사는 방북에 앞서 미국을 방문, 조지 W 부시 대통령과 만나 후 주석의 구두 메시지를 전한 뒤 부시 대통령을 비롯한 미국 고위 관계자들과 북핵 사태를 깊이 있게 논의했다. 여기서 도출된 내용을 북한에 전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김 위원장이 이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지만 탕 특사와 마주 앉았다는 사실만으로도 대화 채널을 여는 진전이 있었다는 견해가 많다. 류젠차오(劉建超)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쌍방이 한반도 정세에 관해 의견을 나누었다는 그 자체만으로도 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런 낙관적인 분석과 달리 북한과 중국이 모두 시간에 쫓기는 상황에서 급히 만나 서로의 입장을 확인한 데 불과하다며 확대해석을 경계하는 신중론도 만만치 않다. 중국으로서는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의 방중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시점이어서 그에 앞서 특사외교를 통한 성과물을 내놓아야 한다는 욕심이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도 라이스 장관이 중국과 논의하기 전에 어떤 식으로든 메시지를 전해야 한다는 절박감이 어느 정도 있었을 것이다. 중국은 중국대로 북한을 설득하거나 영향력을 행사하는 방식으로 태도 변화를 촉구해야 했고 북한도 미국과의 무한대결로 치닫기보다 협상의 계기를 찾기 위해 특사 방문을 외면할 수 없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탕 특사의 김 위원장 면담 결과는 20일로 예정된 라이스 장관의 중국 방문에서 그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