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삼성 협력업체도 '특검 후폭풍'

전자측 투자결정 지연으로 2·3차 협력업체 감산·폐업 고심


삼성 협력업체도 '특검 후폭풍' 전자측 투자결정 지연으로 2·3차 협력업체 감산·폐업 고심 이현호기자 hhlee@sed.co.kr 삼성 특검의 후폭풍이 중소 협력업체들에까지 확산되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 특검의 압박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삼성전자가 대규모 투자결정을 뒷전으로 미루면서 불똥이 1차 협력업체들은 물론 2, 3차 협력업체들에까지 튀고 있다. 삼성전자의 1차 협력업체는 반도체를 비롯해 휴대폰ㆍ액정표시장치(LCD) 등의 분야에서 800여개에 달한다. 이들 협력업체에 대한 현금결제 규모만도 매년 13조5,000억원 이상 되는데 시설투자를 위해 무상으로 연평균 2,000억원 이상을 지원하는 것까지 포함하면 대략 14조원 규모의 투자가 아직 확정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이들 1차 협력업체의 우려가 커지면서 이들과 거래하는 2, 3차 협력업체들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때문에 최근 들어 시화 및 반월공단에 입주한 10여개 삼성전자 협력업체 사장들이 일주일에 한번씩 대책회의를 갖고 있다. 1차 협력업체들의 투자계획 차질이 영세한 2, 3차 협력업체들에 전가되는 악순환으로 이어지면서 이들 협력업체의 일부가 생산을 줄이거나 아예 문을 닫으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 대책회의에 참가했던 한 반도체 검사장비 부품업체 사장은 “올해 사업계획 등을 마련해 이에 따른 자금운용 계획을 수립, 은행대출을 받아야 하는데 거래처인 1차 협력업체와의 납품단가 계약을 확정하지 못하면서 매년 계약을 담보로 대출 받던 올해 운용자금을 아직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여기에다 매년 3월 삼성전자가 개최하는 모바일 포럼인 SMS도 올해는 특검으로 연기됐다. 이 행사는 삼성전자가 모바일용 반도체칩, OS 등을 협력업체들에 설명하고 신제품 등을 전시하는 자리다. 이 행사가 미뤄지면서 협력업체들은 아무런 준비도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LCD 장비부품을 생산하는 한 2차 협력업체 사장은 “지금은 그런 대로 버티지만 앞으로가 더 문제”라며 “자금출처 조사, 고위 임원들의 소환조사가 확대되면 그에 따른 협력업체들의 불안심리는 폭발적으로 악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