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에셋 플러스] 손실 위험 적어 대안 투자처로 급부상

분산투자 효과 뛰어나고<br>원금보장형 비중 높아<br>작년보다 109%나 늘어




금리ㆍ신용ㆍ원자재ㆍ환율 등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결합증권(DLS)이 분산투자 매력과 상품가격 상승에 따른 수익률 상승 효과에 힘입어 대안투자처로 급부상하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올 들어 7월까지 DLS 발행액은 총 14조7,016억원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109%나 증가했다. 특히 지난 4월 이후 발행량이 급증하면서 7월까지 3개월 연속 월별 총 발행규모가 2조원을 넘어서고 있다.


전문가들은 최근 금융 감독 당국이 만기 3개월 미만의 DLS 판매를 자제하도록 권고하면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금리나 기업의 신용위험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상품 발행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원자재 가격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DLS 발행이 견조한 흐름을 보이면서 올해 총 발행량은 2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DLS 투자의 첫번째 포인트는 분산투자 효과다. 주식형 상품 중에서 주가연계증권(ELS)이 주식 보다는 손실 위험이 적으면서 시중 금리 보다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중위험ㆍ중수익 상품으로 자리매김했듯 DLS 역시 원자재 펀드나 상품 선물보다 손실 위험이 적으면서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는 대안상품으로 꼽힌다. 특히 최근 출시된 상품들 대부분이 손실 위험 구간을 기준 가격의 50% 수준으로 낮춰 원자재 가격이 폭락하지 않는 이상 원금을 모두 잃을 가능성도 거의 사라진 상황이다.

또 DLS의 경우 일반투자자들에게는 생소한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삼기 때문에 투자자 보호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원금보장형 상품이 많고 원금 손실가능성을 없앤 노낙인(No-Knock-in) 상품 비중도 높은 게 특징이다. .

최근 원자재 가격이 강세를 보이면서 우수한 수익률로 조기 혹은 만기 상환되는 상품들이 많은 것도 주목할 만 하다. 우리투자증권이 지난해 1월 판매한 DLS326호는 기초자산인 대두 선물과 옥수수 선물의 상승세에 힘 입어 발행 18개월만인 지난 7월 총 18%의 수익률로 조기 상환됐다. 또 일정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매월 1%의 이자를 주는 월지급식 DLS 700호도 금ㆍ은 가격 강세로 출시 6개월만인 지난달 16일 투자자들에게 총 6%의 수익을 안겨줬다.


신용 연계 상품 가운데선 멕시코 국채의 신용사건을 기초자산으로 한 미래에셋증권의 DLS 325회가 발행 70일만인 지난 6월29일 연 4.1%의 수익률로 만기 상환됐다. 기업이나 국가, 공공기관 등이 발행한 채권의 신용사건을 기초자산으로 한 상품은 법인투자자들이 주로 투자하는 상품이었지만 최근에는 채권에 투자하던 개인투자자들이 신용연계형 DLS로 이동하는 추세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이 상품은 보통 해당 기업이나 국가가 발행한 채권이 파산ㆍ지급불이행ㆍ채무재조정되지 않으면 미리 정한 금리를 제공한다.

관련기사



최근에는 원자재 선물을 기초자산으로 한 상품 중 금ㆍ은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상품의 인기가 높다. 주요국들의 추가 양적 완화 이후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와 달러화 약세로 금과 은값이 껑충 뛰고 있기 때문이다.

윤석삼 우리투자증권 FICC파생팀 대리는 "전세계적인 인플레이션과 미국 양적완화에 따른 유동성 증가로 원자재 가격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상품 선물을 기초자산으로 한 DL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다만 이미 큰 폭으로 오른데다 기후변화 등에 따라 변동성이 큰 농산물은 원금보장형으로 투자하는 것이 좋고 금ㆍ은이나 원유를 기초자산으로 한 월지급식 상품도 각광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원자재 랠리 기대감… 금·은 DLS 주목할 만

미국의 3차 양적완화(QE3)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의 유동성 확대에 원자재 랠리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자 전문가들은 원자재 파생결합상품(DLS) 중에서도 금ㆍ은을 기초자산으로 한 상품이 가장 유망한 것으로 꼽았다.

손동현 현대증권 연구원은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입이 꾸준한데다 최근에는 금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가격 상승으로 실물 매입추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공급은 한정된 상황에서 실물수요가 견조하고 달러화 약세로 금 가격 강세가 불가피해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대열 하나대투증권 펀드리서치팀장도 "유동성 확대로 원자재 가격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특히 금이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본다"며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 헤지 기능이 가장 강하고 미국에서 금본위제 논의까지 나오고 있어 리스크 헤지용 자산으로서 가치가 더욱 부각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원유와 농산물의 경우 연말까지 횡보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김 팀장은 "최근 서부텍사스산중질유(WTI) 가격이 배럴당 100달러에 근접했을 때 미국의 전략비축유 방출 가능성이 제기된 것처럼 산유국과 수요국의 가격 정책에 따라 가격 증가폭이 제한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농산물 역시 그간 이상기후로 과도한 랠리가 이어졌지만 수확기가 다가오면서 정상가격으로 회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단기적인 투자매력이 약하다"고 진단했다.



서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