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소비자 10명 중 9명 "주민번호 대체수단 필요"

주민번호 대체수단으로 공인인증서 가장 선호

소비자 10명 중 9명이 인터넷상에서 주민번호를대체할 수단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실제로 주민번호 대체수단을 사용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소비자들은 주민번호를 대체할 수단으로 편의성보다는 안전성을 고려, 공인인증서를 가장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정보보호진흥원과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은 31일 주민번호 대체수단 도입과 관련, 최근 소비자 1천19명과 100개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이같이 분석됐다고 밝혔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주민번호 대체수단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소비자와 사업자 비율은 각각 93%와 67%였으며 실제 주민번호 대체수단 사용 의향을 묻는 질문에도 소비자의 92%와 사업자의 75%가 "그렇다"고 답했다. 대체수단을 발급받는 경우 선호하는 신원 확인 방법에 대해서는 소비자의 31%와사업자의 43%가 공인인증서를 뽑았으며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인증(소비자 31%, 사업자 26%), 주민등록증 등의 신분증을 통한 대면확인(소비자 18%, 사업자 8%)이 뒤를이었다. 특히 소비자와 사업자들은 모두 주민번호 대체수단 사용시 편의성보다는 안전성을 먼저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주민번호 대체수단을 사용하게 될 경우 '안전성을 고려하겠다'고 답한 비율은소비자 83%, 사업자 52%로 '사용 편의성을 고려하겠다'(소비자 17%, 사업자 38%)는비율보다 높았다. 향후에 주민번호 대체수단이 도입돼 기존에 수집된 주민번호의 처리 방향에 대해 소비자들은 '일괄 삭제'를 원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일괄삭제'를 원하는 소비자와 사업자는 각각 54%와 38%였으며 '소비자의 요청이 있을 때에만 삭제'(소비자23%, 사업자 34%), '암호화해 저장'(소비자 23%, 사업자 18%) 등의 순이었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인터넷상에서의 주민번호 입력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면서도주민번호 입력에 부주의하거나 무지한 것으로 분석됐다. 소비자들은 인터넷 사이트에서 회원가입을 위해 주민번호 입력을 요구할 경우 '자신의 주민번호를 입력한다'고 대답한 비율이 85.4%에 달했으며 78.6%가 '주민번호를 입력하면서 불안감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또 주민번호를 입력하면서 사업자의 개인정보보호정책 보유 여부나 내용 등을고려하지 않은 채 아무것도 확인하지 않는 소비자도 3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서울과 6대 광역시와 기타 지역에 거주하는 만 14세 이상 49세 이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지난 7월 7일부터 8월 17일까지 실시됐으며 오차범위는 ±3.1% 포인트다. (서울=연합뉴스) 국기헌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