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北 핵실험 강행] 산업계 파장

전자·자동차·화섬업계 직격탄 우려<br>대북제재 수위 높아질땐 자금조달에 어려움<br>재계 "투자활동·자금운영 계획등 비상 점검" <br>장기화땐 기업 내년 경영계획 수립도 차질

국내 기업들은 북핵사태로 대외신인도가 추락하고 해외수출에도 차질이 빚어질까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해외로 수출될 자동차들이 선적을 앞두고 항구에 줄지어서있다.

“소비심리와 투자심리를 한층 위축시켜 경기둔화 속도가 가속화될 가능성이 우려된다.” (대한상의 이현석 상무) 북한이 9일 오전 핵실험을 강행하자 산업계가 바짝 긴장하며 숨을 죽인 채 향후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기업 입장에선 (북한 핵실험 강행에 따른) 상황이 안정될 때까지는 모든 불확실성을 최소화할 수밖에 없다”며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투자 활동 및 자금운영계획, 생산 및 마케팅 활동 전반에 걸쳐 비상점검을 펼 것”이라고 말했다. 기업들은 특히 이번 북한 핵실험 강행 사태로 소비심리가 위축, 가뜩이나 어려운 내수경기에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로 대표적인 소비재산업인 전자업계는 북핵 위기의 직격탄을 맞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A전자 관계자는 “국내 가전제품 판매가 줄어들 것으로 우려되지만 현재로서는 이렇다 할 방안이 없다”며 “다만 내수 비중이 15%에 불과한 게 다행”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또 다른 전자업체 B사의 관계자 역시 “내수나 수출이나 어떻게 될지 예상하기 힘들기 때문에 사태추이를 관심 깊게 살펴보면서 대책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자동차업종 역시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강철구 한국자동차공업협회 이사는 “노사분쟁이 마무리되면서 9월 들어 모처럼 내수시장이 회복기미를 보였는데 이번 북한의 핵 실험이 소비심리의 위축으로 이어져 내수시장을 악화시키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화섬업체인 효성 관계자도 “북핵 파장이 장기화될 경우 섬유업계 전체에 파급을 몰고 올 수 있는 만큼 사태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배상근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그동안 북핵위기에 내성이 생긴 점을 감안할 때 빨리 수습이 되면 일시적 영향에 그치겠지만 확대되면 심각한 위기가 될 것”이라며 “장기화할 경우 기업들의 내년 경영계획에도 커다란 차질을 빚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번 북한 핵실험 사태가 몰고 올 파장과 관련, 아직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국내외 자금조달에 어려움이 발생할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거론되고 있다. 권오용 SK그룹 전무는 “4대그룹은 한국 신용등급보다 신용도가 높아 당장 자금조달에 어려움이 없지만 신용도가 낮은 기업들은 곤란을 겪을 수 있다”며 “북핵 위기가 전면적인 경제봉쇄와 무력제재로 이어지면 해외에서의 자금조달은 불가능해질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이번 사태로 컨트리 리스크가 새롭게 부각됐다는 점에서 당장은 아니라 해도 한계기업을 중심으로 자금운영 등에 예상치 못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의미다. 기업들은 이와 관련, “지금보다 앞으로의 전개 방향이 관건”이라며 “미국 등 이해당사국의 대북제재 수위가 높아질 경우 일파만파의 파장을 피하기 힘들다”고 우려했다. 한편 재계는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 강도 높게 비판했다. 전경련은 이날 “북한의 핵실험 실시에 대해 경제계는 경악을 금치 못하며 국민과 함께 이를 강력 규탄한다”고 공식 논평했다. 대한상의 역시 “이번 북한의 핵실험은 국제사회의 반대와 설득에도 불구하고 자행된 것으로 경악과 분노를 금치 못하며 이로 인해 초래되는 모든 책임은 북한이 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경총도 “정부와 정치권은 북한의 핵실험으로 인해 경제에 막대한 타격이 우려되는 만큼 이를 최소화하는 데 전방위적인 협력과 노력을 기울여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