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하버드大 중산층에 문턱 낮춘다

등록금 50%이상 깎아 학비부담 크게 줄여<br>다른 유명 대학들도 감면제도 확대할듯


미국 명문대 하버드 대학이 집안 사정에 따라 등록금을 대폭 감면해 중산층에 대한 문턱을 대폭 낮추기로 했다. 하버드대가 연간 4만달러가 넘는 등록금을 중산층에 대해 학비를 절반 이하로 깎아주기로 함에 따라 다른 유수 대학들에게도 학비감면 제도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10일 하버드대는 내년 가을학기(9월)부터 가계수입이 연간 18만달러 이하인 중산층 학생들의 등록금을 가계수입의 10% 이하를 받기로 했다. 가계수입이 12만~18만달러인 학생의 경우 수입의 10%인 1만2,000~1만8,000달러를 내면된다. 수입이 6만~12만달러 사이인 학생에겐 10% 이하의 비율로 등록금 액수가 적용된다. 이에 따라 중산층 이하 가정의 하버드 생은 1만6,000달러 이하의 등록금을 내게돼 부담이 크게 덜게 됐다. 이는 미국 내 유수 공립대학 수준의 학비에 해당한다. 소득이 6만달러가 안되는 가정의 학생은 등록금이 면제된다. 지금까지 하버드대의 1년 등록금은 각종 학비지원 프로그램을 제외하고 평균 4만5,620달러(4,200만원 상당)에 이르렀다. 드류 파우스트 하버드대 총장은 "빚을 내 등록금을 내는 학생들의 걱정과 짐을 줄여 배우고자 하는 모든 학생들에게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하버드대 측은 이에 따라 지원금의 규모를 기존 9,800만달러에서 연간 1억2,000만달러로 늘릴 예정이다. 하버드대는 지난 2004년 연간소득이 4만달러이하인 가정의 학생들의 등록금을 면제한데 이어 지난해 이 기준을 6만달러까지 확대한 바 있다. 그러자 컬럼비아ㆍ프린스턴ㆍ스탠포드ㆍ예일대 등 다른 아이비리그 대학들도 연달아 학자대출제 등을 폐지했다. 따라서 이번 하버드대의 결정이 다른 경쟁 대학들의 등록금 제도를 변화시키는 촉매제가 될 것이란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하버드대 등 미국의 주요 사립대학은 그간 1년 평균 4만5,620만달러에 달하는 비싼 등록금 때문에 종종 미국 사회에서 지탄을 받았다. 하버드대의 재정규모는 최근 몇 년 사이 기부금 펀드 등으로 수익이 급증하면서 57억달러로 불어났다. 우수한 인재들을 대거 유치하는 명문대들이 천문학적인 등록금으로 학생들의 교육기회를 오히려 가로막는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미국의 한 조사기관에 따르면 유명대학 146곳에서 하위 25% 소득층 출신 학생은 3%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나머지 74%는 상위 25%에 속했다. 찰스 그래슬리 미 상원의원은 "(하버드대로 인해) 다른 대학들도 학비를 좀 더 합리적인 수준으로 조정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