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시론] 지방공항 살리려면


지난달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인천·김포·김해·제주를 제외한 여수·청주·양양 등 11개 공항이 지난 1990년 이후 지난해까지 7,213억원의 누적 순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공항 살리기를 위해 지난 수년간 정부가 노력했음에도 지방공항의 적자폭은 갈수록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울진과 예천공항은 문을 닫았고 포항공항도 잠정적으로 폐쇄될 예정이지만 정치논리가 아닌 지역주민들의 편익 때문이라도 적자 공항들을 한순간에 없앨 수는 없다.

정부 노력 불구 갈수록 적자 늘어


그러나 지방공항에 대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 상황임은 분명하다. 현재 활주로 용량 대비 운항실적은 김포·김해·제주를 제외한 공항들의 경우 10%도 되지 않는다. 1% 미만 공항도 5개나 된다. 이틀에 비행기가 한두 번 이착륙하는 공항들도 있는데 이쯤 되면 북한 평양의 순안공항과 같거나 그보다 못한 수준이다.

그렇다면 지방공항의 운영 효율화나 합리화 방안으로는 무엇이 있을까. 첫째, 화물전문 공항으로의 특화를 들 수 있다. 이미 청주공항이 항공화물로 특화하겠다고 했다가 실패한 바 있는데 청주공항은 인천공항과 가깝다는 지리적 단점이 화물운송 활성화를 저해했다. 그러나 동남권에서 김해공항이 항공화물 물류허브의 역할을 하듯이 기존 공항 중 서남권 항공화물 허브공항을 선정해 육성할 수 있다. 독일의 라이프치히나 벨기에의 리에주공항도 지방공항이지만 항공화물과 물류 허브공항으로 성장했다.


라이프치히공항은 항공 DHL의 독일 및 서유럽 허브공항이며 리에주공항은 네덜란드 특송업체 TNT의 벨기에 및 유럽 거점공항으로 유명하다. 우리도 서남권 공항에 항공화물·국제특송 및 택배 허브 개념을 도입, 발전시킨다면 중국·미국발 항공화물 항공사와 특송업체들을 유치할 수 있다.

관련기사



그동안 지방공항 활성화를 위해 저가항공 유치에 노력해왔으나 지방공항을 이용할 때 승객들의 이동 불편이 걸림돌로 작용해 항공사 유치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항공화물 항공사들은 오히려 지방공항이 제공하는 인센티브와 화물처리에 정체가 없는 점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다.

두 번째 방안은 지방공항이 보유한 항공화물 처리 시설의 용도변경이다. 주요 지방공항의 연간 항공화물 처리능력을 보면 광주 5만6,000톤, 무안 5만톤, 청주 3만5,000톤, 여수 1만1,000톤, 사천 3,000톤 등이다. 그러나 지난 1년간 화물처리 실적은 상당히 저조한 상황으로 광주 1만6,000톤, 무안 1,500톤, 청주 1만8,000톤, 여수 2,200톤, 사천 600톤에 그쳐 각 지방공항이 보유한 시설·장비 및 설비 등의 활용률도 낮다.

이러한 시설과 설비 등을 최소한의 항공화물을 처리할 수 있는 수준으로 운용하되 물류·유통업체들을 유치해 시설 운용을 촉진함과 동시에 공항운영의 부담을 덜어줘야 한다.

글로벌 물류사 화물기지 노려볼 만

지난 국정감사에서는 지방공항 살리기 방안으로 수년간 반복해온 '다양한 저비용항공(LCC) 노선 확충과 지역공항에 맞는 연계상품 개발 등 지방공항 활성화를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만 했을 뿐 구체적이고 새로운 대안이 제시되지 못해 아쉬움을 남겼다. 더구나 고속도로와 고속철도 확장이 국내 항공운송을 위협하고 있는 이때 모멘텀 전환 없이는 지방공항 살리기가 더욱 어려울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