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전국 '5+2' 광역경제권 재편…지자체 '기대반 걱정반'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 긍정론속<br>"이견조정기구 등 보완책 필요" 지적도

지방자치단체들은 인수위가 24일 발표한 ‘5+2 광역경제권’ 추진계획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한껏 기대하면서도 기존 사업과의 충돌, 광역경제권 안에서의 이견을 조정할 기구를 만드는 등 보완책 마련도 서둘러야 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경기도는 실질적 분권화체계 속에서 광역경제권에 대해 행정ㆍ재정적 지원이 가능해져 권역별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구비될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참여정부 시절의 ‘4+9 지역전략산업 진흥사업’의 통합 운영이 가능해지고 균형특별회계 재편, 광역경제권 특별회계 신설로 경기도에 대한 지원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일희 인천시 정책기획관은 “광역경제권에 의한 권역별 맞춤형 산업발전계획은 국토계획, 수도권정비계획(경제자유구역개발계획 포함) 등과 연계ㆍ통합돼야 하며 관련법규 정비도 우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지난해 말 ‘대구ㆍ경북 통합 경제권’ 구축을 위해 관련 조례를 제정하는 등 박차를 가해온 만큼 본격적인 통합체 구성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고 있다. 김관용 경북지사는 “대구ㆍ경북 경제통합은 향후 지역 발전에 엄청난 공헌을 하게 될 것”이라고 장담했다. 부산과 울산ㆍ경남권에서는 동남권 경제통합기구 구성 등 구체적인 실행 계획들이 조만간 가시화될 전망이다. 특히 ‘조선산업벨트’를 주축으로 한 광역산업벨트 구축도 조만간 본궤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광주시ㆍ전남도는 정부에서 직접 광역경제권 조성을 추진한다는 데 대해 호감을 표시했다. 특히 광주시는 삼각 광역경제권의 배후중심도시로서 도약할 절호의 기회를 맞게 될 것으로 기대하는 눈치다. 시의 한 관계자는 “‘신광주 메트로폴리탄’ 구축사업을 추진하면서 광주~완도, 광주~무안, 광주외곽순환도로 건설을 통해 인접 시ㆍ군과의 경제권 통합을 추진해왔지만 예산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정부에서 직접 광역화를 추진하면 예산지원과 사업 추진이 원활히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내비쳤다. 전남도는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면서도 이미 추진 중인 J프로젝트, F1 대회, 여수엑스포 등에 지장을 받을 수도 있어 대책 마련에 나섰다. 도 기획관실 관계자는 “현재 광역경제권 안에서 중첩될 수 있는 사업들을 원만히 조정ㆍ배분할 수 있는 기구가 필요하다”며 “광역경제권이 활성화되려면 낙후지역에 대한 정책적 배려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대전시와 충청남ㆍ북도는 충청 광역경제권의 신성장동력 거점으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제시한 인수위 계획에 대해 노화욱 충북도 경제부지사는 “대전의 강점인 연구개발(R&D)과 충남ㆍ북의 강점인 산업기반이 윈윈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고 평가했다. 김창환 대전시 경제국장도 “대덕특구의 우수한 R&D가 보다 활성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강원도는 대구ㆍ경북 광역경제권에 포함될 것이라는 우려를 씻고 특별광역경제권으로 개발될 수 있게 돼 고무된 모습이다. 김상표 산업경제국장은 “낙후지역을 신발전지대로 전환하고 광역경제권 기간 인프라를 확충하는 2대 전략이 도 발전에 큰 힘이 될 것”이라며 “철원ㆍ화천 등 접경지역과 태백ㆍ삼척 등 폐광지역 개발, 수도권과의 연계 인프라 확충작업이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