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LGD·LG전자 시너지 경영

권영수 사장 "차세대 3D패널, 올 출시 TV에 적용"


LG디스플레이와 LG전자가 위기 극복을 위해 협력을 한층 강화해 시너지 경영에 나선다. 이를 위해 LG디스플레이가 개발한 차세대 3차원(3D) 패널을 LG전자가 올해 출시할 모든 3D TV 라인업에 적용한다. 또 스마트폰 등에도 LG디스플레이의 모바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채택할 예정이다. 그동안 같은 전자 계열사임에도 엇박자를 보여온 두 회사가 구본준 부회장의 LG전자 대표 취임 이후 경영전략을 공유하기 시작한 것으로 풀이된다. 권영수(사진) LG디스플레이 사장은 지난 21일 지난해 4ㆍ4분기 실적발표 뒤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LG전자와의 관계는 단기적인 것이 아니다. 2~3년 후 나올 제품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개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대표적인 사례로 지난해 말 LG디스플레이가 개발한 '필름패턴편광안경(FPR)' 방식 3D 패널을 들었다. 권 사장은 "이달 초 미국에서 열린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이후 LG전자가 FPR에 '올인'하기로 전략을 바꾼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당초 LG전자는 기존 3D TV 시장의 주력 방식인 셔터안경(SG) 방식 3D TV 사업을 당분간 병행할 방침이었다. 그러나 세계 TV 시장 2위인 모기업 LG전자와 액정표시장치(LCD) 부문 1위인 자회사 LG디스플레이가 힘을 합쳐 'FPR 3D' 기술을 LG의 대표상품으로 키우기로 전략을 바꾼 것이다. 권 사장은 "FPR 3D 패널은 단점이 거의 없다"면서 "이 패널이 3D TV 수요를 창출해낼 것"이라고 자신했다. 모바일 부문에서의 협력도 대폭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LG디스플레이의 OLED가 탑재된 LG전자의 스마트폰이 올해 내 출시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중국 광저우(廣州) LCD 공장 착공 시기와 관련해 권 사장은 "당초 예상보다 중국 정부의 승인이 많이 지연되는 바람에 파주에 먼저 8세대 공장을 짓기로 했다"며 "중국 공장은 서두르지 않고 시장 상황을 봐가며 신중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지난해 하반기부터 지속된 LCD 시황 악화 추세가 오는 2월쯤 바닥을 찍고 난 뒤 3월부터는 회복될 것이라며 2ㆍ4분기 이후에는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권 사장은 최근 스티브 잡스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병가를 낸 데 대해 "우린 애플과 가장 가까운 회사"라며 "병문안이라도 가고 싶은 마음이며 빨리 쾌유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말했다. LG디스플레이는 잡스가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라고 이름 붙인 IPS(In-Plane Switching)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애플의 아이폰4에 공급하고 있으며 아이패드에도 LG디스플레이 패널이 쓰이고 있다.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