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북 핵실험 책임에 따른 외교라인 줄사퇴와 정계개편 표면화, 레임덕 조짐, 신도시 혼선사태 등 복잡한 상황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으며 국면 전환을 위해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 최근 노 대통령의 몇몇 행보를 보면 이와 관련해 약간의 힌트를 얻을 수 있다. 이른바 노 대통령 특유의 ‘정면 돌파형’ 특색이 드러나고 있다는 것이다. 우선 주목되는 것이 며칠 앞으로 다가온 외교 라인의 개각 구도. 현재까지 드러난 압축 후보군을 보면 대부분 노 대통령 특유의 ‘측근 인사 배치’ 모습이 확연히 눈에 띈다. 송민순 안보실장의 중용과 통일과 외교부 장관에 자신이 해양수산부 시절 인연을 맺었던 김하중 주중 대사를 동시에 후보로 올린 점, 자신과 사시 동기로 이른바 ‘8인회 멤버’인 이종백 서울고검장을 국정원장 후보로 검토하는 것 등…. 대부분이 코드군으로 짜여진 모습이다. 포용정책에 대한 안팎의 거센 비판과 북 핵실험에 따른 책임론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사람을 앉혀 임기 말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관철하겠다는 포석으로 해석된다. 최근 단행한 정무 특보들의 기용도 노 대통령의 스타일을 다시 한번 보여준 것이었다. 노 대통령은 ‘보은 인사’ ‘회전문 인사’ ‘오기 인사’라는 여론의 비난이 일지 뻔히 알면서도 이해찬 전 총리와 문재인 전 민정수석 등을 정무특보단에 합류시켰다. 고조되는 정계 개편의 소용돌이 속에서 자신의 힘을 유지함과 동시에 레임덕을 차단하겠다는 의지다. 검단 신도시 사태로 한명숙 총리로부터 질책까지 받은 추병직 건설교통부 장관을 유임하기로 한 것도 비슷한 줄기로 풀이된다. 시민단체 등의 비판이 고조되고 있음에도 경제 부처 개각은 연말ㆍ연초 정치인 출신 장관들이 당으로 돌아가는 시점에 맞추겠다는 애초의 그림을 흔들지 않겠다는 뜻을 확인한 셈이다. 노 대통령의 이 같은 행보에 대한 해석은 엇갈리고 있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인사권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이며 자신의 뜻과 맞는 사람을 기용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확대 해석할 필요가 없다고 강조한다. 하지만 야당 등의 해석은 딴판이다. 외양상 상황에 대한 정면 돌파 의지로 보이지만 노 대통령 특유의 ‘오기 정치’를 임기 말까지 계속하겠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는 행위라는 설명이다. 레임덕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 대통령이 어떤 카드들을 계속 선보일지 관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