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나라 분당위기 고조] 중재안 처리할 전국위가 분수령

朴측 "총력 저지" 선언…세대결 불가피<br>15일 상임전국위·21일 전국위 소집 주목<br>양측 모두 표대결 부담…타협 가능성도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일단 전국위원회 세 대결에서 이겨 경선 무산 내지 연기를 추진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박 전 대표가 당장 탈당할 가능성은 낮은 상황에서 중재안을 총력 저지하기로 선언했기 때문이다. 중재안 처리 관문인 전국위에서의 정면 대결이 한나라당의 분열로 연결될 가능성을 배제하기는 힘들다. 전국위는 ‘미니 전당대회’격이어서 양측은 사활을 건 승부를 벌일 전망이다. ◇전면전 벌어지면=당헌 개정을 전제로 한 ‘강재섭 중재안’이 효력을 얻기 위해서는 상임전국위원회 및 전국위 의결이 필요하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박 전 대표는 전국위 지분을 반분하고 있다. 오는 15일 상임전국위, 21일 전국위 소집이 예정된 상태다. 특히 박 전 대표 측은 상임전국위 단계에서 중재안 처리를 막겠다는 의도를 내비치고 있다. 박근혜계로 분류되는 김학원 상임전국위 의장은 “양측 합의 없는 중재안은 상정하지 않겠다”고 했다. 하지만 강재섭 대표와 이 전 시장 측은 중재안을 밀어붙일 태세다. 양측 표 대결까지 벌어질 경우 당은 극도의 분열 분위기에 빠질 것으로 보인다. 박 전 대표가 표결에서 승리할 경우 중재안은 무산되고 경선룰 협상이 원점에서 시작될 것이다. 지도부 교체도 예상된다. 강 대표는 “다음주 상임전국위에서 중재안이 처리되거나 대선주자간 협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대표직과 의원직을 사퇴하겠다”고 말했다. 지도부 재선출이 불가피해지면서 당은 또다시 대립과 혼란을 겪을 전망이다. 반면 이 전 시장이 승리할 경우에는 박 전 대표는 경선을 보이콧한 뒤 이 전 시장의 낙마나 차기 대권을 고려하는 수순을 밟을 가능성이 크다. 경선은 물론 대선 정국 전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하지만 ‘미니 전당대회’인 전국위에서 지는 쪽은 정치적으로 큰 타격을 입을 수 있어 양측 모두 부담스러워 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이 전 시장 측과 강 대표도 ‘월등한’ 표 우위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전국위 표결을 강행하기 힘들다. 박 전 대표도 분열을 주도한다는 오명을 뒤집어쓸 수 있다. ◇분열 갈림길=박 전 대표를 포함해 양대 주자가 즉각적인, 또 소규모의 탈당을 결행할 가능성은 낮다. 하지만 한나라당 의원들의 지적대로 전국위에서 ‘각목 사태’라도 벌어지고 당 지도부가 흔들리기 시작하면 양측의 골이 깊어질 수 있다. 전국위 상황이나 다른 정치 상황에 따라 이른바 재결합을 전제로 한 ‘합의 이혼’도 불가능하지만은 않다는 것이다. 반대로 박 전 대표가 중재안을 전격 수용하거나 이 전 시장이 경선룰 재조정에 극적으로 응할 경우 당 내분은 해결점을 찾을 수도 있다. 당내 일각에서는 ‘앞선 자(이 전 시장)’의 양보 필요성도 거론된다. 이 전 시장 쪽이 받는 압박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