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하나은행, 공자금투입은행과 물밑접촉

■ 합병대상 은행들 움직임신한-'先 지주사 정비 後 우량은행과 합병' 방침 옛 국민ㆍ주택은행이 합병해 거대은행으로 재출범한 이후 신한, 하나, 한미 등 재무구조는 우량하지만 시장지배력이 약한 중견 은행들은 규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심해왔다. 국민은행이나 우리금융그룹 등 메이저들이 전열을 정비해 본격적인 경쟁구도가 시작되거나 새로운 합병은행이 등장해 현재의 은행업 구도가 깨질 경우 곧바로 생존의 위협을 느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들은 '추가 합병 대세론'을 일찌감치 인정하며 물밑 작업을 진행해왔다. 특히 어느 한 조합이라도 합병이 성사단계에 이르면 나머지 은행들은 도미노로 변화의 격류에 휩쓸릴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선수를 치는 편이 유리하다는 게 이들 은행의 입장이다. 다만 공개적으로 진행할 수 없는 합병작업의 성격상 철저히 보안을 유지하고 있을 뿐이다. ◆ 하나은행, 공자금 투입은행이 합병 우선순위 하나은행은 합병에 가장 적극적인 곳이다.특히 제일, 서울 등 공적자금 투입은행과의 합병을 우선순위에 두고 다른 우량은행과의 합병 시너지 효과도 저울질하고 있다. 김승유 하나은행장은 "공적자금 투입은행과 합병하면 합병후 5년간 법인세를 면제 받을 수 있어 합병 대상으로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밝혀 이들 은행과 물밑 협상이 진행중임을 시사했다. 실제 하나은행은 제일은행과의 합병을 위해 수차례 논의한 적이 있지만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제일은행이 정부로부터 받은 풋백옵션(사후손실보전) 등으로 재무구조가 크게 개선 됐지만 하나은행의 자금여력으로 제일은행을 흡수하기에 벅찬 것이 현실이다. 김 행장이 지분맞교환 방식을 언급했지만, 이를 통해 자금문제를 해결하더라도 제일은행 직원에 대한 고용조정이 불가피한 상태여서 조직정서 등을 감안할 때 어려운 점이 적지 않다. 서울은행 역시 같은 하나은행입장에서는 같은 문제를 안고 있다. ◆ 신한은행, 우량은행과 합병하겠다 이인호 신한은행장은 "현재로선 합병을 서둘지 않고 있지만 합병을 할 경우 상호 이익을 낼 수 있는 우량은행과 추진하게 될 것"이라고 공식 언급했다. 이 행장은 "은행규모만으로 국내 3위권(국민은행, 우리금융지주회사에 이어)은 유지해야 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며 "다른 은행과의 합병을 통한 대형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은행 자체적으로도 매년 자산규모가 10조원 이상씩 늘고 있어 대형화는 자연스럽게 이뤄지고 있지만 2006년까지 은행을 중심으로 지주회사 자산을 160조원으로 키우기 위해 항상 합병에 대한 생각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신한은행의 경우 지난 9월 신한지주회사 출범에 힘입어 독자생존의 기반은 닦아놓았기 때문에 하나, 한미은행 등 다른 중견 우량은행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여유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합병에 대한 원칙도 제주은행의 자회사 편입 등 지주회사 정비에 비해 순위가 떨어진다는 게 공식 입장. 그러나 하나은행과 제일은행의 합병이 성사될 경우 자산규모가 78조원을 넘어섬에 따라 현재 은행권 3위를 유지하고 있는 신한은행의 자산규모(58조원)는 상대적인 열세에 놓이게 된다. 이같은 맥락에서 신한은행 역시 손놓고 있을 수는 없는 입장. 신한은행 고위 관계자는 "조건이 유리한 합병이라면 주저할 이유가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 한미은행, 합병가능성만 열어두겠다 은행간 합병에 있어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는 한미은행은 합병으로 인한 규모보다는 내부 체질강화에 주력한다는게 공식 입장이다. 하영구 한미은행장은 "경영전략 차원에서 합병 가능성은 다른 은행들과 마찬가지로 항상 열려있다"며 "하지만 현재로서는 합병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하 행장은 "현재로서는 규모를 늘리기 보다 글로벌스탠더드에 맞는 원칙들을 충실히 지켜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하 행장의 이같은 발언은 우량은행간의 합병에서 주도권을 쥐기에 역부족인 만큼 사이즈보다는 자산건전성 및 수익성을 바탕으로 작지만 최고의 수익을 내는 은행으로 만든 다음 향후 합병간 주도권을 잡아보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그러나 현재 34조원의 자산규모인 한미은행이 다른 우량은행간 합병이 가속화될 경우 '홀로서기'가 쉽지는 않을 것으로 금융계는 보고 있다. 김민열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