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여년후 스탠더드 오일의 후손들이 다시 합치자고 협상을 벌이고 있다. 1년 사이에 기름값이 40%나 떨어져 큰 회사끼리 합쳐 불필요한 사업과 중복 부문을 도려낼 필요성 때문이다. 이번에도 연방정부가 최대 걸림돌이다. 두 회사의 합병이 공정거래를 해칠 경우 미 법무부는 승인하지 않을 태세다.지난 여름 뉴욕 월가를 뒤흔들었던 세계 금융대란설이 잠잠해지면서 미국에선 또다시 합병 및 인수(M&A) 바람이 불고 있다. 도이체 방크의 뱅커스 트러스트 인수 협상, 어메리카 온 라인의 넷스케이프 인수 등 자고나면 합병 소식이다.
미국의 빅딜, 즉 기업 구조조정의 궁극적 종착역은 주주에게 이익을 돌려주기 위한 것이다. 주주란 소액투자자 또는 투자자를 의미한다. 미국 기업에선 적자를 내면 경영진이 물러나야 한다. 경영진은 주주의 신임을 얻기 위해 회사 간판을 내리더라도 경쟁기업과 합병하는 일을 서슴지 않는다.
한국에도 기업 구조조정이 한창이다. 그런데 한국에선 정부가 공정거래를 차치하고 합병을 권하는데도 재벌 기업들이 미적지근하게 움직이고 있다.
한국판 빅딜이 잘 되지않는 근본 이유는 재벌의 소유구조에 있다. 내 기업인데 정부가 왜 간섭하느냐, 기아의 부채는 탕감해주면서 빅딜로 합병할 기업의 부채는 왜 탕감해주지 않느냐는 등 모순된 주장은 소유구조에서 비롯된다.
스탠더드 오일의 주인이었던 존 록펠러와 당대의 금융재벌인 J P 모건은 미국 산업화와 금융선진화에 큰 역할을 했다. 그러나 대공황을 전후해 미국 정부는 더이상 개인과 가벌이 경제를 독점하는 것을 용인하지 않았다.
선진국 기업들은 저만치 달려가는데 한국 재벌들은 대공황 이전의 미국 기업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게 아닐까. 막대한 은행 부채를 시장 자본화하려면 내 기업이 아니라 주주의 기업이라는 경제원칙이 먼저 수립되어야 한다. 미국식 기업경영과 한국식 경영의 차이는 문화적 개념의 차이가 아니라, 자본주의 역사 발전단계의 문제라는 생각이 든다. 【김인영 뉴욕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