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하남시-경기도 갈등 증폭

광역화장장 건립지원 백지화싸고<br>하남시, 공식사과·보상 요구등 전면전 태세<br>경기도선 "장사법 개정돼 사업 철회 불가피"

경기도의 광역화장장 건립지원 백지화에 대해 하남시가 도에 공식사과 및 보상 등을 요구하며 전면전을 선포하고 나섰다. 문제의 발단은 경기도가 어려운 재정여건 등을 이유로 하남시에 광역장사시설 유치시 건립지원금 3,000억원과 인센티브 1,200억~2,000억원을 제공하겠다고 한 약속을 없던 일로 했기 때문이다. 김황식 하남시장은 하남 광역화장장 건립을 지원하고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는 경기도의 지지를 바탕으로 지난 2006년부터 광역화장장 건립을 추진해 왔다. 이 과정에서 반대측 주민들에 의해 주민소환투표에 회부돼 시장직을 박탈당할 위기에까지 처하기도 했다. 김 시장의 광역화장장 추진은 어디까지나 경기도의 금전적 지원에서 비롯된 셈이다. 김 시장은 주민들의 반대를 무릎 쓰고 추진 하려던 광역화장장 설치 사업이 경기도의 지원 백지로 사실상 무산되게 됐다. 김 시장의 서운한 감정은 11일 하남시청 기자회견에서 그대로 표출됐다. 김 시장은 이날 하남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경기도가 하남시와 어떠한 협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광역장사시설을 포기하겠다고 한 것은 자치단체 간 신뢰와 윤리를 스스로 저버리는 구태이자 지방자치발전에 찬물을 끼얹는 일”이라며 김 지사를 비난했다. 특히 그는 “경기도의 광역화장장 포기에 대한 발표가 18대 총선을 이틀 앞둔 7일 이뤄진 것은 정치적인 수단으로 장사시설 문제를 다뤘다는 의혹을 남긴 것”이라며 “경기도지사는 이에 대해 구체적이고 명백하게 해명하라”고 촉구했다. 김 시장은 ▦경기도의 하남시 지원계획이 공식약속임을 밝히고 사과할 것 ▦광역장사시설 유치문제로 야기된 사회적, 물리적 비용을 보상할 것 ▦주민소환투표로 의원직을 상실한 전 시의원 2명에게 정치적, 도의적인 보상을 할 것 ▦오는 20일까지 하남시 요구사항에 대해 확답할 것 등 4가지 요구사항을 경기도와 김 지사에게 제시했다.

관련기사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