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윤혜경의 파생상품 대해부]<16> 기초자산과 ELW가격의 괴리

최종 체결 시점 다르면 수익률 달라<br>내재변동성 변화로 가격 소폭 조정 올수도


기초자산과 ELW가격의 괴리 [윤혜경의 파생상품 대해부]최종 체결 시점 다르면 수익률 달라내재변동성 변화로 가격 소폭 조정 올수도 관련기사 >> 다트머니 기사 더 보기 • 부동산 時테크가 곧 財테크 • 어학연수…보유 아파트 처리는 어떻게 • [에디터즈 레터] 투자와 투기의 차이 • [이상품 어때요] '다이렉트 저축예금' • 자동차보험 아는 만큼 아낀다 • 어! 車보험이 多되네 • "가치주·중소형주 펀드 돋보이네" • "중소형주에 관심 커질것" • [숨은 진주 찾기-IPO 유망기업] 텔레필드 • [윤혜경의 파생상품 대해부] • [머니조크] 젊은 사업가 • 부동산투자 호재 중첩지역 노려라 • 호재 중첩지역 연내 분양물량 • [전국 아파트 주간 시세 동향] • [부동산써브 추천 알짜물건] 1월21일 • [서경 펀드 닥터] 주식형 수익률 -6.93% • 남자도 꾸며야 산다 • 대학생 학년별 취업준비 ELW에 대해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질문하는 내용은 ELW가 기초자산의 움직임과 괴리가 있다는 것이다. 쉽게 말해 레버리지 5배짜리 삼성전자 콜 ELW를 보유하고 있고 오늘 삼성전자 주가가 1%올랐는데 보유하고 있는 ELW는 5%가 오르지 않았다는 이야기다. 어떤 상황에서 이 같은 일이 발생할 수 있을까? 첫째, 전날 ELW의 최종 체결 시점이 기초자산의 종가 체결시점과 다른 경우이다. 기초자산은 전일 종가를 기준으로 당일 상승률이 나오지만 ELW는 전일 최종 체결가 기준으로 상승률이 나오기 때문에 체결 시점이 다른 경우 수익률이 다르게 보일 수 있다. 의외로 이로 이한 오해들이 많다. ELW의 등락률이 기초자산의 등락률과 다를 경우 제일 먼저 HTS에서 해당 ELW의 최종 체결 시점이 언제인지를 체크 해야 한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 주가가 오후 2시40분 53만5,000원을 기록하고 있던 시점에서 삼성전자 콜 ELW를 530원에 매수했고 그 이후 거래가 이뤄지지 않아 해당 ELW의 최종 체결가가 530원으로 남게 되었다고 가정해보자. 하지만 삼성전자 주가는 동시호가 때 급락해 52만원으로 마감됐다. 다음날 삼성전자가 53만원에 호가되고 있다면 기초자산의 등락률은 1%가 넘는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오지만 사실상 전날 해당 ELW가 최종 체결되었던 시점 가격인 53만 5,000원보다 낮은 가격이므로 ELW는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게 될 것이라는 이야기다. 둘째, 가격이 싼 깊은 외가격 종목의 경우다. 지난 주에 싼 ELW가 비지떡이라는 내용은 설명한 바 있다. 가격이 200원이 채 되지 않는 ELW는 만기에 행사될 확률이 낮고 따라서 기초자산의 변화분의 ELW가격 변화분을 나타내는 델타도 낮다. 기초자산이 왠만큼 크게 움직이지 않는다면 델타로 인한 ELW가격 상승분 보다 시간가치 하락분(쎄타)이 더 클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기초자산이 올라도 ELW는 보합에 머무르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그래서 델타 기준으로는 0.3이 넘는 종목이 바람직하고, 가격기준으로는 200원 이상이 안전하다. 셋째, 기초자산 변화와 별개로 ELW가격이 내재변동성의 변화에 의해 가격이 영향을 받는 경우다. 이는 시장의 변동성 변화에 따라 소폭 조정이 불가피한 경우 생길 수 있다. 지난해 여름에는 시장의 변동성이 역사적 수준으로 급등했던 반면 그 이후 시장의 변동성은 하락하는 추세이다. 앞서 ELW의 내재변동성은 변화하는 값이고 시장의 변동성 변화에 따라 조정이 이뤄지게 된다는 내용은 설명한 바 있다. 그러나 변동성 변화를 크게, 자주 하는 LP의 종목은 피하는 것이 좋다. 넷째, 전량 매도 상품(Sold out)의 경우다. LP가 일정물량을 상장 시킨 후 상장된 물량을 전량 매도하게 되면 매도가를 낼 수 없고 매수가만 내게 된다. 이 경우 시장가격이 LP의 매수호가와 크게 동떨어져서 왜곡되는 경우가 있다. LP매수가격보다 훨씬 비싼 가격에 다른 투자자에게 매수를 했다면 이후에 기초자산이 올라줘도 워낙 비싼 가격에 샀기 때문에 수익률이 예상만큼 나오지 않을 수 밖에 없다. 이밖에 만기가 30일이 채 남지 않아 LP의 유동성 공급이 종료된 ELW라던가 투자자의 주문 실수나 투자자의 의도적인 자기 매매 등으로 인해 ELW의 가격이 왜곡되는 경우가 간혹 발생한다. 따라서 ELW를 매수, 매도할 때는 반드시 LP의 보유물량을 확인하고 LP의 매수, 매도가 근처에서 매매를 해야 한다. 보유하고 있는 ELW가 기초자산과 왜곡돼 움직인다고 느껴진다면 위의 경우에 해당하는지를 먼저 체크해 보고 그래도 의문이 풀리지 않는다면 해당 ELW의 유동성 공급을 담당하고 있는 LP에 문의를 해 보면 된다. 입력시간 : 2008/01/20 15:11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