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15년 이후 우리나라를 세계 10위의 선진국으로 이끌어갈 ‘미래 국가유망기술’로 재생의과학, 핵융합, 인지과학ㆍ로봇 등 21개가 선정됐다. 다만 이번 선정내용에 정보기술(IT)ㆍ바이오기술(BT)ㆍ에너지 등 과학기술 전 분야가 망라돼 세부 항목과 추진일정 수립과정에서 다시 ‘선택과 집중’ 문제가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29일 청와대에서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제18회 국가과학기술위원회를 열어 ‘미래 국가유망기술 21’을 확정하고 범국가적 역량을 집중해나가기로 했다. 미래 국가유망기술은 10∼20년 후 우리 사회를 풍요롭고 쾌적하며 안전한 선진사회로 만드는 데 기여할 핵심 기술분야로 ▦시장성(경제적 부가가치 창출) ▦삶의 질 ▦공공성(국가안위ㆍ위상제고) 등이 함께 고려됐다. 5~10년 이후의 기존 차세대 성장동력사업 및 21세기 프런티어사업 등과는 시기적으로 차별화된다. 유망기술을 3개 기준으로 보면 ▦시장성 기술로는 실감형 디지털 콘퍼런스, 초고성능 컴퓨팅, 나노ㆍ고기능성 소재 등 ▦공공성 기준으로는 전지구 관측 시스템과 국가지원 활용, 기후변화 예측ㆍ대응, 해양영토 관리와 이용 등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유망 기술로는 생체방어, 맞춤 의학ㆍ신약, 생태계 보전ㆍ복원 등이 선정됐다. 이중 재생의과학 기술은 3개 기준에 공통으로 적용된 미래기술로 채택됐으며 인지과학ㆍ로봇, 감성형 문화 콘텐츠 등 2개 기술은 시장성과 삶의 질 제고 등 2개 기준이 함께 고려됐다. 정부는 미래 유망기술을 선점하기 위해 면밀한 전략을 수립, 차질 없이 이행할 경우 우리나라가 2015년께 1인당 국내총생산(GDP) 3만5,000만달러 이상을 달성하고 삶의 질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국 중 현재 26위에서 20위권으로 도약하는 등 세계 10위의 선진국에 진입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선정된 21개 기술의 기술지도를 하반기 중 작성하고 내년 8월까지 최종적인 ‘미래 국가유망기술 개발 종합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