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올 상반기 ‘펀드 수익률’ 미래에셋 1·2위 차지

템플턴은 7% 그쳐…운용사별 최고 3배 差<BR>전기전자업종 편입비중 따라 편차커 ‘눈길’


상반기 자산운용사들이 운용하는 펀드의 평균 수익률이 최고 3배까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기전자 편입 비중에 따라 수익률의 편차가 발생해 눈길을 끌었다. 7일 펀드평가회사 제로인에 따르면 올들어 6월 말까지 주식편입비가 71% 이상인 주식형 펀드(성장형) 부문에서는 미래에셋투신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수익률 23.33%와 22.16%로 나란히 1, 2위를 차지했다. 이 기간 종합주가지수 상승률 12.53%와 성장형 펀드 평균 수익률 14.71%에 비하면 상당한 초과 수익을 달성한 것이다. 또 마이다스운용과 신영투신운용이 21.91%, 20.05%로 20%를 넘었으며 새로 설립된 칸서스자산운용이 19.94%로 5위안에 들었다. 그러나 주식형 펀드(성장형) 수탁고 300억원 이상인 회사 25개 중 13개가 평균 이하의 성적을 거두었으며 특히 가치투자로 유명한 프랭클린템플턴은 7.33%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제로인 관계자는 “6개월 기록만으로 펀드 수익률의 좋고 나쁨을 말하기는 이르기는 하지만 상반기 운용사별로 자산 포트폴리오에 따라 수익률 편차가 비교적 많이 났다”고 말했다. 특히 상반기 주가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저조했던 전기전자 편입 비중에 따라 운용사별 펀드 수익률이 크게 차이가 났다. 수익률 상위 10개사와 하위 10개사는 전기전자 업종 비중 평균이 각각 16.3%, 25.9%였다. 수익률 최하위인 템플턴투신운용은 전기전자업종 비중을 30%로 그대로 유지했고 화학 업종도 14%로 고정시켰으며 은행주와 운수장비주 비중 순서만 바꾸었다. 주식편입 비중은 4월말 현재 89.65%로 지난해 말 86.67%에 비해 3%포인트 가량 늘었고, 업종별 편입은 전기전자, 운수장비 업종 비중은 줄었지만 화학, 은행비중은 높아졌다. 또 포트폴리오 변화가 많은 회사는 동양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투신운용, 조흥운용 등이었으며 대투운용, 삼성투신, 한투운용 등은 변화가 거의 없었던 나타났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