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차세대 반도체소재 국내 개발

조성래·홍순철교수팀, 전력소비 최소화 처리속도 획기적 향상'자성(磁性)을 가진 반도체'를 세계 처음 개발, 컴퓨터의 대혁명이 예고되고 있다. 현재 컴퓨터는 하드웨어의 자석판에 정보를 저장하고 반도체는 자료를 응용하고 옮기는 역할을 하는데 자성 반도체를 적용하면 소프트웨어가 정보저장 역할까지 하게 돼 컴퓨터의 개념 자체가 달라지게 된다. 울산대 조성래(37ㆍ고체물리학실험전공), 홍순철(45ㆍ고체물리학전산전공) 교수는 공동으로 신물질인 자성을 띤 반도체 'MnGeP2, MnGeAs2'등 2가지를 개발, 특허를 냈고 내년 3월 미국물리학회에서 초청 강연을 한다고 16일 밝혔다. 조 교수는 "기존 반도체는 자성이 없어 나 새로 개발한 신물질은 반도체 역할도 하고 상온 섭씨 57도 이하까지 자성을 띤다"며 "이를 컴퓨터에 적용하면 전력소비를 현격히 줄일 수 있고 하드디스크도 거의 필요 없는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정보 저장능력과 처리속도도 현재보다 훨씬 뛰어나고 메모리의 휘발성(정보가 날아가는 것)도 없어지게 된다"며 "이는 컴퓨터를 켜고 끄는데 시간이 거의 걸리지 않고 순간 정전때 저장했던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이 물질이 적용되면 컴퓨터의 하드웨어가 필요 없게 돼 아주 작은 컴퓨터를 만들 수 있고 비행기의 블랙박스도 손바닥 크기로 줄일 수 있는 등 모든 산업에 일대 혁신이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김광수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