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설 성수품값 들썩… 서민들 시름

원가부담 커진데다 수요증가로 한몫설을 앞두고 제수용품 등이 큰 폭으로 오르면서 서민가계에 부담이 되고있다. 특히 채소나 육류, 생선 등 가격은 지난해보다 최고 3배까지 올라 설 상차림 비용이 만만치 않게 들 것으로 보인다. 2일 가락동 농수산물시장에 따르면 배추는 설이 다가오면서 5톤 트럭 한대당 425만원까지 거래돼 지난해 설 1주일전(148만7,500원)에 비해 무려 186%나 올랐다. 무도 15㎏당 9,250원에 거래돼 지난해 설(3,300원)때의 가격보다 3배이상 높은 수준이다. 대표적 제수용품인 조기(냉동)도 20㎏에 35만원으로 작년 29만5,000원보다 19% 정도 올랐고 굴비 10마리도 현재 24만2,500원에 판매되고 있어 지난해 설때보다 5% 뛰었다. 북어 1쾌(20마리)도 1만8,500원으로 작년 1만6,250원보다 14% 올랐다. 백화점 등 유통현장에서도 설물가 오름세가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국내산 산적용 쇠고기는 1일 현재 1㎏당 1만7,500원으로 지난해 설때보다 1만6,000원보다 9% 올랐다. 밤은 1㎏에 3,500원에서 4,400원으로 26% 올랐다. 나물류중에서는 국내산 숙주 1근이 1,300원에서 2,000원으로 54%의 오름세를 보였다. 이에따라 백화점측은 올 설차례상 비용이 10만6,650원으로 지난해의 10만4,150원보다 많이 들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감귤(15㎏)은 지난해 2만8,583원에서 올해 1만1,000원으로 62%나 떨어졌고, 사과(후지)는 32%, 배(신고)는 25%씩 가격이 내렸다. 또 감자(34.8%), 마늘(33.3%), 양파(28.6%) 달걀(18.2%), 닭고기(12.5%) 등이 지난해에 비해 가격이 하락해 그나마 위안이 됐다. 업계 관계자는 『설 성수품을 중심으로 가격이 크게 오른 것은 시설채소의 난방비 등 생산원가가 높아진데다 경기회복세와 더불어 올해는 지난해보다 나은 상차림을 하려는 가정이 늘었기 때문이다』고 분석했다. 김희석기자VBKIM@SED.CO.KR

관련기사



김희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