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응급실 '수시간 대기' 사라진다

경증환자-응급실·중증환자-응급의료센터로 이원화


몇시간씩 기다리던 '응급실' 확 바뀐다
응급실 '수시간 대기' 사라진다경증환자-응급실·중증환자-응급의료센터로 이원화

김경미기자 kmkim@sed.co.kr



















응급수술을 필요로 하는 중증 외상환자 및 중환자는 '응급의료센터'를, 치료가 필요하지만 그리 급하지는 않은 경증환자는 '응급실'을 이용하게 하는 방안이 모색된다.

보건복지부는 26일 국립중앙의료원에서 공청회를 열고 의료기관의 시설ㆍ인력 규모 등에 따라 3~4단계로 세분화되던 기존 응급의료체계를 환자의 중증도 및 긴급도에 따라 응급의료센터-응급실 2단계로 구축하는 개편안을 제시했다.

복지부는 공청회를 시작으로 각계의 의견을 수렴해 올 하반기까지 2013~2017년 응급의료기본계획을 확정할 계획이다.

응급의료센터는 응급진료권별 인구 50만명당 1개소 이상 설치되도록 하며 상급종합병원 및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 등의 의료기관을 통해 암ㆍ심혈관 질환 등 중증 응급질환의 최종 치료 및 응급수술 등을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한다.

응급실은 24시간 진료 및 기본 응급서비스, 중증 환자의 적정 이송 역량 등을 집중적으로 키워 경증 환자들을 돌보게 한다.

아울러 큰 질환은 아니지만 야간ㆍ휴일에 갈 수 있는 의료기관이 부족해 어쩔 수 없이 응급실을 찾았던 환자들을 위해 야간ㆍ공휴일 외래 진료를 확대하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복지부가 이 같은 응급의료전달체계 개편안을 내놓은 것은 전국에 수백 곳의 응급의료기관이 운영되고 있지만 이용자들의 만족도는 극히 낮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국내 응급의료기관은 정부가 지정해 운영하는 지역응급의료기관ㆍ지역응급의료센터ㆍ권역응급의료센터 459곳과 의료기관의 신고로 운영되는 응급의료시설 132곳 등 580여곳에 이른다.

하지만 이 가운데 188개소에 이르는 응급의료기관이 시설ㆍ제공인력 등 법정 지정 기준조차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데다 중증 응급환자 치료 역량이 기관별로 큰 차이도 없다. 실제 지난해 중증응급환자의 입원비율은 권역센터가 80%, 지역센터가 77.3%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대부분 응급실은 야간에 갈 곳이 없는 경증환자들로 가득 차 있고 5~6시간씩 기다려야 하는 환자들의 불만도 컸다.

중증 응급환자 발생시 어느 병원으로 이송해야 할지 기준도 없어 구급요원이 아닌 환자나 보호자가 원하는 센터로 이송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치료능력이 없는 의료기관을 방문함에 따라 치료의 적기를 놓쳐 사망과 후유장애의 위험성이 크게 높아지는 경우가 많았다.

정은경 복지부 응급의료과장은 "이번 체계 개편을 통해 응급의료기관의 기능을 재정립하고 제한된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해 응급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