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공적보증기관 보유 부실채권 관리 일원화 필요”

캠코ㆍ금융연구원 심포지엄 개최


공공 부실채권의 효율적인 정리를 위해서는 공적 보증기관이 보유한 부실채권 관리를 일원화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재연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3일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와 한국금융연구원의 ‘부실채권정리기금의 운용 성과 및 부실채권시장의 향후 발전 과제’ 심포지엄의 주제 발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연구위원은 “공공보증기관은 부실채권 정리 방식을 법령으로 엄격하게 제한받고 있고 보증잔액 대비 높은 특수채권 비중을 유지하는 등의 이유로 부실채권 비율이 금융권에 비해 높다”며 “공적 보증기관이 보유한 부실채권 관리를 일원화하면 개별 채권 관리에 따른 사회적 비용의 중복 지출을 억제하고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했다.

관련기사



이 연구위원은 2006년부터 2010년 사이 부실채권을 분산 관리한 기술보증기금과 신용보증기금의 경우 회수율이 매년 2.4%∼4.7% 수준이었지만 결집 관리한 한마음금융은 9.8%∼11.4% 선으로 더 높았다고 설명했다.

이날 장영철 캠코 사장은 개회사에서 “캠코는 지난 1997년 IMF 외환위기 당시 발생된 약 219조원에 이르는 부실채권을 해결하기 위해 설치된 부실채권정리기금을 통해 당시 발생된 부실의 50% 수준인 111조원을 인수했고 이를 위해 투입된 공적자금 39조2,000억원의 122%를 회수하는 유례없는 성과를 거뒀다”며 “부실채권 정리를 위해 ABS 발행, 국제입찰, AMCㆍCRC 등 합작투자회사 설립을 통한 매각 등 다양한 금융기법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사진=장영철 캠코 사장이 23일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