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외국서 받을 돈 늘고… 갚을 돈 줄고

대외 채무 1년3개월만에 감소

우리나라의 순대외채권, 즉 해외에서 받을 돈에서 갚아야 할 돈을 뺀 규모가 3년6개월만에 가장 많아졌다. 받을 돈은 늘고 갚아야 할 돈은 줄어든데 따른 것이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6월말 국제투자대조표’를 보면 지난 6월말 현재 순대외채권(대외채권-대외채무)은 242억8,000만달러로 석달전에 비해 77억1,000만달러 늘었다.


분기말 기준으로 보면 2007년말의 374억1,000만달러 이후 3년6개월만에 최고 수준이다.

우리나라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발했던 2008년말 순대외채무가 300억7,000만달러에 달했지만, 작년부터 순대외채무가 줄면서 작년 9월말 순대외채권국으로 전환됐다. 이후에도 순대외채권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대외 투자가 늘어난데다 환율 상승으로 외국인 국내 투자분의 평가액이 감소한데 따른 것이다.

관련기사



분야별로 보면 6월말 현재 대외채권은 4,317억달러로 3월말보다 39억3,000만달러 증가했다.

반면 대외채무는 4,074억3,000만달러로 37억8,000만달러 감소했다. 대외 채무는 2008년말 해외 기관들이 상환압박을 가하면서 크게 줄었으며, 지난해 2ㆍ4분기 이후 증가세를 보인 뒤 이번에 다시 감소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대외 채무 중에서는 단기외채가 23억6,000만달러 줄었으며 장기외채도 14억3,000만달러 줄었다. 이에 따라 준비자산, 즉 외환보유액에서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중도 55.5%로 1.3%포인트 하락했다.

지난 3월말 기준 국내총생산(GDP)에서 대외채무가 차지하는 비율은 45.5%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미국(97.9%), 독일(144.7%), 프랑스(189.7%), 홍콩(314.8%), 영국(407.6%)보다 크게 낮았다.

대외투자 잔액은 6월말 현재 6,208억2,000만달러로 지난 3월말보다 23억7,000만달러 늘었다.

외국인의 대내투자 잔액은 원ㆍ달러 환율 상승으로 증권투자 평가액이 줄어들면서 250억5,000만달러가 감소한 7,518억6천만달러를 기록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