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초등校 성적표부활' 파문

신임 서울시 교육감 방침에 교육단체들 반발

지난 28일 서울시교육감 선거에서 최종 당선된 공정택 당선자의 ‘초등학교 성적표부활’ 방침 파문이 교육계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공 당선자는 28일 당선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수우미양가 등의 성적을 문자로 기록하는 평가체제(성적기록표)를 초등학교 때부터 어느 정도 부활시키는 것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관련 단체와 학부모들은 이에 대해 학교교육이 ‘한줄 세우기’로 돌아간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29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구정환 초등위원장은 “지식 위주의 평가가 이뤄지면 초등학교에도 입시풍토가 조성될 수 있다”며 “학원 교육이 우선시되면서 사교육비 부담이 크게 늘어나는 등 큰 혼란이 초래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학교를 사랑하는 학부모 모임’ 김형진 사무국장도 “학생들의 학력을 증진시키겠다는 기본취지는 이해하지만 평가방향이 인성이나 특기ㆍ적성교육 위주에서 성적이라는 과거로 회귀하는 것은 문제”라며 “사교육비 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서울시의 교육방침이 다른 지역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다른 시ㆍ도에도 일정한 파장을 미칠 것이라고 걱정했다. ‘참교육을 위한 전국 학부모회’도 이날 성명을 통해 “초등학교 성적을 공개하는 것은 중ㆍ고등학교 교육까지 경쟁체제로 가겠다는 것을 의미하며 자립형 사립고나 특수목적고 등 일부를 위한 교육정책이 자리잡게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박인옥 참교육학부모회 사무처장은 “초등학교 전 단계인 유치원 교육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공교육 정상화라는 교육부 방침과 무관하게 사교육비를 증가시켜 학원산업만 엄청난 득을 볼 수 있다”고 꼬집었다. 학부모들의 의견은 찬반으로 나뉘었다. 회사원 김정택(39)씨는 “초등학교 단계에서는 성적보다 아이들의 적성을 찾아주고 인성을 길러주는 것이 우선”이라며 “한줄세우기 교육에 적극 반대한다”고 말했다. 반면 주부 이성미(36ㆍ서울 쌍문동)씨는 “학교에서 적절한 평가로 아이의 상태를 확인해 주는 게 중ㆍ고등학교에 진급해서도 유리할 것”이라며 “각 교과별로 아이의 성적을 공개해 달라”고 주문했다. 정영현기자 yhchung@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