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통일부 "대화 나와라" 북 태도변화 촉구

북한이 우리의 대화 제의를 거절했음에도 통일부는 15일 대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우리 정부는 북한의 대화 거부 입장에 반발하면서도 대화 재개라는 끈은 놓지 않고 있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의 대화 거부 입장과 관련해 "유관부처가 종합 검토하고 분석한 결과 북한이 우리 정부의 대화 제의를 거부한 것으로 판단했다"면서 "정부의 대화를 통한 해결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행동에 대해 어제와 마찬가지로 재차 유감을 표명한다"고 말했다. 통일부 측의 이 같은 발언은 전날 청와대가 밝힌 "북한이 우리 정부의 대화 제의를 거부한 것은 참으로 유감"이라는 입장과 궤를 같이하는 것이다.

관련기사



다만 김 대변인은 북측에 대화의 길은 여전히 열려 있다는 뜻을 나타내며 태도변화를 요구했다. 그는 "우리 정부는 기본적으로 류길재 장관의 4월11일 성명과 같이 북한이 대화의 장으로 나와 자신이 제안하려는 이야기를 충분히 하라는 입장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대화 제의와 관련해 "우리가 그냥 단순하게 제의한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해 심사숙고해서 한 무거운 것"이라고 강조했다.

통일부는 개성공단 정상화를 통해 남북 간 긴장완화를 도모하고 있다. 김 대변인은 개성공단 기업인 임원진이 개성공단을 17일 방문하겠다고 신청한 것과 관련해 "북한 측의 공식입장을 아직 받은 것이 없다"면서 "정부는 지속적으로 이 문제를 환기시키면서 북한 측의 입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역대 개성공단기업협회 회장단이 중심이 된 방북 대표단 10여명의 22일 개성공단 방문 계획과 관련해서는 "계획을 접수했다"면서 "적절한 시기에 북한 측에 전달하고 방북을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기본적으로 북한이 개성공단 문제의 해결과 관련해 책임 있는 조치를 당장 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보수단체들이 이날 북한 김일성 주석의 생일을 맞아 계획했던 대북전단 살포를 정부 측의 만류로 보류하는 등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끌어내기 위한 움직임은 정부와 시민단체를 아울러 전방위로 진행되는 모양새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