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추석연휴 심야ㆍ새벽 교통사고 사망자 많아

평일 대비 20% 이상↑…후방 추돌사고 심해

추석 연휴에는 될 수 있으면 심야와 새벽에 운전하지 않는 게 좋은 것으로 8일 나타났다. 삼성화재가 도로교통공단과 자사 보험가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추석 연휴에 평일 대비 부상 사고가 평균 20~30% 증가했다. 이는 차량 1대당 탑승 인원이 많은데다 교통 체증으로 운전 스트레스와 피로가 늘어 집중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평일과 비교해 추석 연휴에는 심야와 새벽 시간대에 사망자 수가 20% 이상 증가했다. 이는 귀성길에 오른 사람들이 교통 체증을 피해 오후 10시부터 새벽 4시 사이에 많이 운행한 데 따른 것이다. 삼성화재 측은 “추석 연휴에 심야와 새벽 시간에 운전 시야가 좋지 않음에도 과속운전과 졸음운전 등이 빈번해 사망 사고가 자주 난다”고 밝혔다. 특히 추석 연휴에는 추돌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가 평일(59.3%) 대비 70.4%로 11.1% 포인트나 높았다. 아울러 신호위반(11.7%), 중앙선 침범(7.8%) 등 중대한 법규 위반 사고가 전체의 79.5%에 달했다. 장거리 운전이 그만큼 사고 위험성을 높이고 차량의 작은 문제나 결함도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추석연휴에 심야와 새벽 시간의 대형 사고를 막는 방법으로는 7시간 이상 숙면, 전조등 켜기, 운전자와 탑승자의 좌석 안전띠 착용, 도로별 제한속도 준수, 무신호 교차로나 곡선 도로 주행 시 방어 운전 등이 제시됐다. 졸음운전은 음주 운전보다 사고 위험이 3~4배 높아 2시간마다 휴식 시간을 가져야 하며, 전체 교통사고의 40%는 후방 추돌사고로 목이나 허리를 다치기 때문에 머리 받침대 높이와 등받이 각도를 조절할 것도 요청됐다. 추석 연휴을 마치고 귀경하기 전날 과음하면 다음날 아침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하며, 성묘 시 음복도 음주운전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