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노인 일자리 해마다 5만개씩 늘린다

정부가 노인 일자리를 매년 5만개씩 늘리기로 해 2017년에는 지금의 2배가량인 43만개의 노인 일자리가 생긴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을 중심으로 한 노인 일자리 종합계획안을 30일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사회보장위원회에서 발표했다.

계획안을 보면 정부는 공공과 민간을 통틀어 노인 일자리를 현재의 23만개에서 2017년까지 43만개로 늘리기로 했다.


또 노인 일자리 참여로 받는 참여보수도 현재의 월 20만원에서 2017년 월 30~40만원으로 두 배로 높이고, 참여기간도 지금의 9개월에서 2017년 10~12개월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관련기사



이를 위해 올해 2,284억원을 포함해 2017년까지 필요한 1조3,000억원의 예산을 확보할 방침이다.

노인 일자리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도 기존의 복지관ㆍ노인회 등 비영리기관에서 벗어나 노인 친화적이고 재정적으로 건실한 사회적 기업, 고령자친화기업, 사회적 협동조합 등으로 넓히기로 했다.

아울러 지역별, 유형별로 노인 일자리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노인인력개발원에 노인 일자리 정보창구를 개설하고 콜센터를 운영해 2014년 중으로 노인 일자리 검색에서 연결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현재 극장이나 편의점 등 민간기업에 한정된 시니어 인턴십(3개월 인턴 기간 현장훈련을 거쳐 해당 기업·기관에 취업 연결하는 제도)을 공공기관으로 확대해 노인 취업 기회를 끌어올리고, 전문직 퇴직 노인이 경력의 단절 없이 재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시니어 직능클럽을 설립해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키로 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급격한 인구 고령화 속에서 발생하는 빈곤, 질병, 고독, 소외, 역할상실 등 노인문제를 해결하는 최고의 정책은 노인 일자리 창출"이라며 "지역사회에서 봉사할 수 있는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 노인들이 활력있는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송대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