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은행권, 개발도상국 시장 노린다

은행권이 아시아 개발도상국들로 눈길을 돌리고있다. 날로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한국시장을 넘어서 블루오션을 탐색하려는 시도다. 7일 은행업계에 따르면 강권석 기업은행장은 50여명의 중소기업 투자사절단과함께 7일부터 5박6일 일정으로 베트남을 방문한다. 강 행장의 이번 베트남 방문은 이 곳에 투자하고자 하는 중소기업 고객들에게현장을 방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호찌민에 있는 사무소를 지점으로 격상시키기 위한 목적이다. 특히 베트남 공산당 서기 및 중앙은행 총재와 면담을 갖는 등 지점 허가를 받기위한 사전 정지작업성 만남이 주요 스케줄을 이루고 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최근 중소기업들이 베트남으로 진출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이들에 대한 금융지원 차원에서 방문이 이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업은행은 최근 차이나센터를 개설한 데 이어 올 상반기에 옌타이(煙臺)지점을신설할 예정이며 중국 현지에 지역본부 설치도 검토중이다. 국민은행은 외환은행을 인수해 해당 네트워크를 통해 개발도상국 시장에 진출한다는 중장기 전략을 세워놓고 있다. 강정원 행장은 선진금융기법을 이용해 베트남 및 카자흐스탄 등 개발도상국에진출하고 싶다는 의사를 피력한 바 있다. 씨티은행의 방식처럼 소수의 한국 간부를 파견하고 다수의 현지인을 고용해 수익을 올린다는 방식이다. 국민은행은 내년 중국 광저우(廣州) 사무소를 지점으로 격상할 예정이다. 하나은행 김종렬 행장도 현재 전체 자산 중 1% 수준인 국외 점포 자산을 중장기적으로 5%까지 늘릴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김 행장은 중국 등 아시아 지역은 지점 확대 등으로 직접 진출하고 유럽과 인도. 파키스탄.두바이 등 지역은 제휴나 간접 투자를 통해 영역을 넓혀간다는 전략을 세워놓고 있다. 우리은행 역시 연초에 로스앤젤레스에 미국 현지법인인 우리아메리카은행의 윌셔지점을 개점한 데 이어 호찌민 지점을 개설했다. 우리은행은 홍콩에 투자은행(IB) 센터를 열고 중국 점포를 추가하며 우리아메리카은행의 지점을 신설하는 등의 계획을 갖고 있다. 이밖에 신한은행.외환은행.농협 등도 해외 지점 추가계획을 갖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