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 지방정부 과도 긴축… 곳곳 마찰

재정난을 겪고 있는 미국 지방정부들이 허리띠를 졸라매는 과정에서 주민, 공무원들과 곳곳에서 마찰을 빚고 있다. 쓰레기 수거회수 감축 등 생활에 꼭 필요한 부분까지 건드리거나, 무급 강제휴가 실시로 생계에 큰 지장을 초래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뉴욕타임스(NYT)는 뉴욕 북부에 위치한 인구 20만 규모의 용커시(Yonkers)는 지난달 비용절감을 위해 주 2회이던 쓰레기 수거회수를 주 1회를 줄였다가 주민들의 항의전화에 홍역을 치뤘고, 결국 지난주 이를 원상회복 시켰다고 보도했다. 뉴욕시에서는 그동안 무상으로 수거했던 가정, 학교에서 배출되는 쓰레기에 대해 시가 수거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마이클 블룸버그 시장은 이와 관련 최근,“재정난 극복에 도움이 된다면 어떤 작은 일도 해야 한다”고 밝혔다. 뉴욕시는 무상 쓰레기처리에 연간 12억 달러를 지출하고 있는 상태. 한 뉴욕시민은 이에 대해 “이제 남은 건 소방서에 도움을 청할 때 요금을 부과하는 것”이라고 비꼬았다. 재정난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는 캘리포니아주에서는 아놀드슈왈 제너거 주지사가 28일(현지시간) 재정비상상태를 선포하고, 7월 들어 중단했던 공무원들의 강제 무급휴가를 다시 시작하도록 행정명령을 내렸다. 이에 따라 고속도로순찰대, 소방공무원 등을 제외한 20만 명의 공무원들은 다음달부터 매월 금요일에 3일간 무급휴가를 의무적으로 가야 하며 이 경우 공무원들의 임금은 14%정도 삭감된다. 슈왈 제너거 주지사는 또 이달 초에는 민주당을 압박하기위해 한시적으로 공무원들의 급여를 최저임금(시간당 7.25달러) 수준으로 낮추는 방안까지 검토해 원성을 산 바 있다. 이에앞서 아이오와, 메릴랜드, 조지아, 테네시주 등은 재정적자를 메우는 한 방편으로 과속 등 교통범칙금을 대폭 인상하거나 추가로 신설하고, 단속카메라를 확충해 주민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한편, 미국의 각 주정부들이 적자 감축을 위해 갖은 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7월 시작된 2011년 회계연도에도 전체 주정부의 적자규모가 838억 달러로 예상될 정도로 여전히 심각한 재정난이 지속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