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외환위기후 임금근로자 '생존확률' 하락

임시.일용직 취업유지 크게 어려워져…취업지속 기간도 단축돼 외환위기 후 임금근로자가 취업을 유지하는 '생존확률'이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최경수 연구위원이 6일 내놓은 '노동시장 유연화의 고용효과 분석'에 따르면 임금근로자가 다음달(익월)에도 취업상태에 머무를 확률은 97년 위기 이전의 약 97.5%에서 위기기간에 95%대(98년 95.8%, 99년 95.9%)로 하락한 이후 2000∼2001년에는 96.5% 수준에 머물렀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상용직근로자의 익월 취업확률은 99.1%로 경제위기 이후에도 이전과 차이가 없었으며, 다만 98년에만 98.6%로 크게 하락했다. 그러나 임시.일용직은 익월에도 취업을 유지할 확률이 하락했으며 이러한 변화는 특히 일용직 근로자가 심했다. 임시직근로자들의 익월 취업확률은 위기 이전 96∼97%에서 2000∼2001년 95∼96%로 다소 감소했으나 일용직은 약 93%에서 약 90%로 급격히 떨어졌다. 이와 함께 경제위기 이전에는 익월에 취업한 실업자의 약 20%가 상용직으로 취업했으나, 위기 이후인 2000∼2001년에는 그 비율이 10%를 약간 상회하는데 그쳤다. 최 연구위원은 '실업자의 취업을 위한 고용창출은 대부분 일용직 혹은 임시직에서 이뤄졌으며 상용직 고용창출은 실업해소에 크게 기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또 95년 7월과 99년 7월 임금근로자의 2년간 취업상태를 분석한 결과 평균 취업지속기간이 99년 표본은 7.5개월로 97년 표본 8.5개월에 비해 단축됐다. 최 연구위원은 '임금근로자의 생존확률 하락은 상용직보다 주로 임시직과 일용직에 있어서의 생존확률 하락에 기인한다'고 말했다. 그는 '경제위기 이후 노동력의 유동성은 크게 증가했으나 노동시장 규제 회피의 목적에서 임시.일용직 중심으로 고용이 확대되는 현상은 고용의 개선 및 경제효율성 제고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임선빈기자[경제뉴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