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부산에 '글로벌 클라우드 허브' 뜬다

LG CNS, 지경부와 손잡고 국내최대 데이터센터 건립<br>日등 글로벌기업 유치나서


전세계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차세대 IT 성장동력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에 주목하는 가운데 우리나라가 클라우드 컴퓨팅의 글로벌 허브를 목표로 대규모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세운다. LG CNS와 지식경제부ㆍ부산시는 28일 전세계 기업들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위한 13만3,000m²(4만평) 규모의 대형 데이터센터를 건설한다고 발표했다. 국내 최대 규모인데다 민관이 손을 잡고 부산을 데이터센터의 허브로 키우기 위한 첫 시도라는 점에서 이목이 쏠리고 있다. LG CNS와 지경부ㆍ부산시는 이날 부산시청에서 '글로벌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허브 구축'을 위한 협약식을 열고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 내 미음지구 부지 3만8,610㎡(1만1,700평)에 국내 최대 규모인 연면적 13만3,000㎡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내년 12월까지 짓기로 했다. 데이터센터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위한 필수 인프라로 부산 데이터센터에서는 7만2,000대의 서버가 운영될 예정이다. LG CNS는 1,700억원을 이 데이터센터를 짓는 데 투자하게 된다. 정부는 지난 5월 클라우드 정책 5대 과제 중 하나로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건립안을 제시했다. 지경부는 "이미 아시아에서 홍콩ㆍ싱가포르가 글로벌 데이터센터를 구축했지만 부산 데이터센터는 이를 뛰어넘는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 데이터센터는 주로 일본을 포함한 해외 기업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이나 재난복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온라인 공간(클라우드)에서 자료저장 공간이나 업무용 소프트웨어를 필요한 만큼만 빌려 쓸 수 있게 하는 기술을 뜻한다. 재난복구 서비스를 이용하면 중요한 업무자료를 수시로 백업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진이나 태풍 등에 따른 피해를 막을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