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2006 한국건축문화大賞] 계획부문 우수상

농촌 개발·도시와 격차 해소 중점

농촌관광 활성화를 위한 Rural convention center 계획안

인공적 지형의 형성을 통한 도농간 매개체

관계성의 전환

잃어버린 광촌의 기억

겹쳐진 영역내 체험 생활가로 조성

올해 한국건축문화대상 계획부문 우수상(대한건축사협회장상)에는 모두 다섯개의 작품이 선정됐다. 대학생들이 낙후된 농촌을 개발하고 도시와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 예상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농촌관광 활성화를 위한 Rural convention center 계획안’은 FTA와 WTO의 시장개방 확대로 점점 설 자리를 잃어가는 우리 농촌의 기능을 살리고 도시와 농촌의 1차적 교류가 일어나는 장소인 시장의 거래 기능을 활성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시장 거래 이후 머무르게 되는 개인들을 비롯해 도ㆍ농간 직접적 교류를 위한 상호 정보 교환을 제공하는 장으로서의 확장 기능을 갖는데 주안점을 뒀다. ‘인공적 지형의 형성을 통한 도농간 매개체’도 이와 비슷한 개념을 갖고 있다. 농촌과 도시간의 불균형을 줄이고 실제적인 농촌으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현대화, 도시화된 농촌을 제시하는 것이 아닌 도시 내의 공원을 활용하고 있다. 도시 내에서 농촌과의 프로그램 연계가 가장 용이한 성격을 갖는 공원에서 도시와 농촌의 결합을 유도하고 있다. 도시와 농촌과의 새로운 관계성을 제안하는 ‘관계성의 전환’도 같은 맥락의 작품이다. 농촌의 문화정체성과 지역공동체의 재활을 위한 노력은 새로운 관계성의 정립에서부터 출발한다는 전제로, 도시와 농촌의 다양한 교류와 상호 발전적인 가능성을 제시했다. 과거부터 석탄 생산지였으나 현재는 예전의 활기를 찾을 수 없고 폐가들이 방치된 태백시는 ‘잃어버린 광촌의 기억’이란 작품으로 태어났다. 석탄 생산지의 특성을 반영한 ‘시간적 요소’,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경험적 요소’, 역사와 복합으로 조성된 교류 요소의 프로그램을 통해 도시와 대상지역이 함께 공존하고 교류해 되살아나는 지역으로 바뀌도록 제안하고 있다. ‘겹쳐진 영역내 체험 생활가로 조성’은 시화방조제 진입로에 들어서는 대부도 북부지역을 단순히 음식점만 들렀다가는 관광지가 아닌 적극적인 체험공간, 농어촌 마을과의 연계를 통해 경제적 발전까지 이끌기 위한 의도가 잘 나타난다. 도시민이 농촌마을의 삶에 좀 더 깊이 스며들도록 하는 건축적 대안으로 생활가로가 제시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