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인터뷰] 김금래 여성가족부 신임장관 "여성·청소년·다문화가족 적극 지원"


"영화 '도가니'를 보는 동안 어린 장애 학생들이 절망적 상태에 방치됐다는 사실에 가슴 아팠고 미안했습니다. 법률적 보완책이나 전 부처의 재발방지 대처, 여성가족부 차원의 성범죄 예방교육과 관리ㆍ감독 등 사회적 시스템 마련이 시급하다고 생각됩니다." 지난달 여성가족부 장관에 임명된 김금래(59ㆍ사진) 신임 장관은 5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첫 기자간담회를 갖고 최근 영화 '도가니'로 촉발된 장애인ㆍ아동 성폭력 범죄에 대한 체계적인 대책마련의 필요성을 이같이 밝혔다. '도가니 사건' 재발 방지를 위해 여가부는 피해자 보호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장애인성폭력상담소의 설치 및 전문 상담인력을 확충하고 현재 3개뿐인 장애인 성폭력 피해자를 위한 보호시설을 권역별로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또한 성폭력 피해를 당한 장애 아동들이 수사 진술 과정에서 겪게 되는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진술 지원 전문인력을 양성ㆍ배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김 장관은 신임 장관으로서의 핵심 추진 정책으로 '일ㆍ가족 양립 문화의 정착'을 꼽았다. 그는 "여성의 전문성이 강조될수록 장시간 근로로 육아 여건이 악화되는 게 우리나라 실정이라 젊은 여성들은 '일은 필수고 결혼은 선택'이라 생각해 저출산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다"며 "여성이 자아를 실현하고 가정을 꾸미는 게 양립될 수 있도록 돕는 게 장관으로서 당연히 해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재계의 적극적인 지원을 당부한 김 장관은 "일ㆍ가족 양립을 위해 유연근무제, 가족친화 근무상황이 우수한 '가족친화기업인증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데 이들 기업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인센티브가 필요하다"며 "올해도 지원한 120여개 기업 가운데 80~100개에 인증을 줄 방침이고 인센티브 도입을 위해 관련 부처와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여성의 사회진출이 늘기는 했지만 고위직에 여성 비중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부 부처 및 각 분야의 지원을 받아 개선하겠다"고 덧붙였다. 장관에 임명된 후 보름 남짓한 기간에 가정폭력지원센터, 청소년 쉼터 등 곳곳을 바쁘게 누볐다는 김 장관은 "여가부의 역할은 우리 사회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미래에 대한 투자이므로 여성ㆍ청소년ㆍ다문화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포부를 나타냈다. 한편 여가부는 이날 내년도 총 예산규모를 올해의 4,259억원보다 4.4% 증가한 4,447억원으로 편성했다고 밝혔다. 여기에는 다문화가족 정착지원에 올해보다 68억원 늘어난 576억원,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지원 등에 50억원 증가한 283억원,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35억원 증액된 538억원을 비롯해 성ㆍ가정 폭력 피해자 지원 내실화 예산 390억원 등이 포함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