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50대이상 소비 크게 줄었다

외환위기 이후 7년간 연령대중 유일하게 감소<br>취업난 심화로 20대도 1.1% 증가 그쳐

외환위기 이후 조기퇴직 바람이 급속하게 불면서 50대 이상 연령층의 소비가 최악의 상황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취업난이 심화하면서 소비를 주도해야 할 20대 젊은층의 소비 증가율도 바닥을 헤매는 등 양극화의 골이 소비 부문에서 더욱 심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25일 재정경제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98년 이후 2004년까지 7년 동안 연령대별 소비동향을 파악한 결과 50대 이상의 연평균 실질소비 증가율이 마이너스 0.9%로 연령층 가운데 유일하게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30대의 소비 증가율은 1.8%를 기록했으며 40대도 연평균 1.6%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재경부의 한 관계자는 “직장 내 평균 퇴직연령이 40대 후반에서 50대 초반으로 내려선데다 핵가족화가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자녀들로부터 경제적 도움을 받는 것도 줄어들면서 이런 현상이 나타난 것 같다”며 “고급소비를 주도하는 이들 계층의 소비 증가율이 줄어든 게 내수부진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20대의 소비 증가율도 1.1%로 증가세를 보이기는 했지만 50대 이상 다음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이 관계자는 “환란 이후 소비를 주도하는 계층이 40~50대에서 30대로 내려온 것이 확연하게 눈에 띄고 있다”며 “하지만 30대가 적극적인 소비보다는 미래를 위해 저축 등에 더욱 신경을 쓰는 세대라는 점에서 소비를 획기적으로 늘리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우선 현재 50대 이상의 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연내에 ‘고령친화산업지원법’(가칭)을 제정해 고령층의 안정적인 소비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한편 정보ㆍ금융ㆍ주택ㆍ요양산업 등 8대 고령친화산업과 홈케어, 역모기지제, 고령자용 임대주택 등 19개 전략품목을 선정해 재정ㆍ세제 지원을 대폭 늘려나갈 계획이지만 가시적인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20대의 경우에도 경기진작을 통해 일자리 수를 늘리는 것 외에 뾰족한 방책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민간연구소의 한 연구위원은 “소비진작을 위한 정책을 연령별로 보다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50대 이상의 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적극적인 유인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