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기춘 "인사 책임 나에게 있다"

만만회 개입설엔 "실체 없다" 부인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이 최근 잇단 인사 난맥에 대해 처음으로 책임을 인정했다. 그러나 인사에 개입하는 실세로 알려진 '만만회'에 대해서는 '전혀 모른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실장은 7일 국회 운영위원회 기관보고에 출석해 "인사가 잘되고 못되고 하는 책임은 전적으로 인사위원장인 비서실장에게 있다"고 말했다.

최근 안대희 전 대법관에 이어 문창극 전 중앙일보 주필까지 국무총리 후보자가 잇달아 낙마하고 내각 후보자의 논란이 연일 제기되고 있는 데 대해 책임을 인정한 것이다. 다만 김 실장은 인사 파동의 책임을 인정하면서도 인사를 검증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나름대로 훌륭한 적임자를 추천하기 위해 많이 노력했지만 청문회가 부담스럽고 가족이 반대해 고사하는 경우가 있어 적임자를 인선하는 데 애로가 있다"면서 "인사수석실을 새로 만들어 상시적으로 훌륭한 인재를 발굴하고 검증해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인사수석실의 신설을 통해 인사 난맥 문제를 극복해나가겠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청와대 인사에 개입하는 실세로 알려진 '만만회'에 대해서는 '모른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김 실장은 만만회의 실체를 밝힐 수 있느냐는 질문에 "악의적으로 언론에서 만든 말이고 실체는 없다"고 부인했다.

만만회는 이재만 청와대 총무비서관, 박근혜 대통령의 동생인 박지만씨, 박 대통령의 숨은 측근인 정윤회씨의 이름 끝 글자를 합쳐 만든 말이다. 정치권에서는 이 만만회가 고위 공직자 인사지명에 관여했다는 의혹이 제기돼왔다.

김 실장은 무소불위 권력을 행사해 '기춘대원군'으로 불리는 데 대해 "언론에 그런 말이 나오는 것은 제 부덕의 소치"라고 답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