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청와대 과거청산론 반응

착잡한 분위기속 사태추이 촉각내치중단 요구엔 "초헌법적" 반박 청와대는 26일 민주당 일각에서 김대중 대통령의 '내치(內治) 중단' 등 김 대통령을 직접 겨냥한 과거 청산론이 제기되고있는데 대해 착잡한 분위기 속에서 사태의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 청와대는 공식적으로는 "정치권에서 나오는 얘기에 대해 왈가왈부할 필요를 느끼지 못한다"면서 반응을 자제하고 있다. 박선숙 청와대 대변인은 민주당 일각의 내치중단 요구에 대한 질문을 받고 "민주당에서 이런저런 얘기가 있는지 모르겠으나 공식적으로 들은 바 없다"고 대응을 삼갔다. 박 대변인은 월드컵 대회 후 한화갑 민주당 대표의 김 대통령 면담설에 대해서도 "그런 얘기를 전달 받은 바 없다"고 말하고 '면담을 요청하면 어떻게 하느냐'는 질문에 "답답한 면이 있으나 청와대는 만약을 전제로 한 얘기에 대해 답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청와대측은 민주당 쇄신파들이 아태재단 문제, 대통령 장남 김홍일 의원 탈당뿐 아니라 대통령의 내치 중단, 청와대 비서진 문책 등을 요구하는 등 압박의 수위를 높여가고 있는데 대해 내심 불쾌감을 느끼고 있다. 과거 청산론이 대선을 의식해 김 대통령을 무차별적으로 밟고 가려는 성격을 띠고 있으며 특히 내치중단 요구는 초헌법적인 발상이라는 게 청와대측의 기본 시각이다. 조순용 정무수석은 내치중단 요구에 대해 "대통령의 국정수행을 일정부분 떼어내 마비시키려는 초헌법적인 발상"이라면서 "국민이 임기동안 국정을 책임지라고 맡겼는데 이를 중단하라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반박했다. 그러나 과거 청산론이 대통령 아들 문제 등에서 비롯된 측면이 있는 만큼 김 대통령이 월드컵이 끝난 뒤 결자해지 차원에서 모종의 결심을 할 것이라는 관측도 없지 않다. 일각에서는 김 대통령이 월드컵 후 개각을 단행, 중립내각을 구성하고 김홍일 의원의 탈당, 아태재단 정리 등의 정국해법을 제시할 것이라는 견해도 조심스럽게 대두되고 있다. 안의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