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 올해내 상당수 탈북자 망명 추가 허용"

마이클 호로위츠 미 허드슨 연구소 선임연구원은 9일 최근 미국이 탈북자 6명의 망명을 허용한 데 이어 올해 안에 상당 수(significant numbers)의 탈북자 망명을 추가로 받아들일 것이라고 말했다. 호로위츠 연구원은 이날 워싱턴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미국은 많은 수의 망명자를 받아들이려 하지만 문제는 이들을 미국 대사관과 미국 땅으로 데려오는 것"이라면서 "더 많은 탈북자들이 미국 망명 기회를 갖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호로위츠 연구원은 특히 미국의 탈북자 수용 규모에 대해 "제이 레프코위츠 미대북인권특사는 200명의 탈북자를 받아들이는 프로그램에 대해 얘기했는데, 나는 1천명은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호로위츠 연구원은 지난 2004년 미국에서 북한인권법이 제정된 이후 이번에 처음 성사된 탈북자 6명의 미국 망명과정에 대해 깊숙이 관여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호로위츠 연구원은 탈북자 정착지원과 관련, "미국 정부는 해마다 망명자 프로그램에 많은 돈을 지출하고 있다"며 탈북자들도 망명자 프로그램에 따라 교육 및 직업알선 등의 지원을 받을 것임을 밝힌 뒤 300만명에 달하는 미국내 한인사회에서도 탈북자들을 적극 도와줄 것으로 확신한다며 지원을 당부했다. 호로위츠 연구원은 또 이번에 미국에 망명한 탈북자는 여성 4명, 남성 2명이라면서 이중 일부는 중국에서 매춘부로 팔려갔거나 강제 결혼을 당하거나 강제노동소에 수감됐다가 도망치는 등 고통을 겪었던 사람들이라고 밝혔다. 호로위츠 연구원은 미국 망명이 허용된 탈북자 6명 선정기준에 대해 "한국의 탈북자 지원단체 관계자들이 `미국이 탈북자를 받아들일 준비가 돼 있다'고 탈북자들에게 다가가 죽음을 무릅쓴 용기와 건강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감안해 이들을 선정했다"고 말했다. 호로위츠 연구원은 특히 "현재 중국에 있는 탈북자 가운데 중국에 머물거나 북한으로 돌아가기를 희망하는 탈북자들은 단 한 명도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호로위츠 연구원은 최근 미국이 북한인권문제를 적극 제기하고 있는 데 대해 "북한이 6자회담 등 대량살상무기 문제에 대해 태도 변화가 없어 측면에서 압력을 가하기 위한 것으로, 미국의 정책이 바뀐 것"이라면서 "조지 부시 대통령이 최근 탈북자.납북자 가족을 만난 것은 강력한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