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김포신도시 어떻게 개발되나

내년 3월 최초분양…2012년 입주 완료 예정<br>생태환경기능 갖춘 자족형 복합도시

김포신도시 어떻게 개발되나 내년 3월 최초분양…2012년 입주 완료 예정생태환경기능 갖춘 자족형 복합도시 2기 신도시중 하나인 김포신도시의 개발 방향이12일 최종 확정됐다. 당초 480만평으로 추진했지만 군당국의 반대로 155만평으로 대폭 축소됐다 신도시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는 지적과 수도권 공급 확대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다시 358만평으로 늘어나게 됐다. 김포신도시는 녹지가 30% 이상 차지하는 생태환경도시이면서 첨단산업을 유치하는 자족형 복합도시로 개발될 예정이다. 총 5만3천가구에 15만여명의 인구를 수용하게 될 김포신도시는 내년 3월 장기지구부터 순차적으로 분양돼 2012년 입주를 완료하게 된다. ◇ 자연과 첨단이 어우러지는 복합도시 김포신도시는 자연과 첨단산업이 어우러지는 자족형 복합도시로 개발된다. 철새도래지로서의 특성을 감안해 한강변 농지 18만평이 생태공원으로 조성되는등 녹지가 30%를 차지하도록 설계됐다. 또 한강변을 따라 강변탐방로가 자리잡고 김포의 명물인 철새와 습지를 연계한생태탐방벨트가 조성되는 한편 기존에 있던 농수로 6㎞는 도시내 수변공간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생태탐방벨트 주변에는 관광객 유치를 위한 전통 농촌체험마을도 들어선다. 첨단도시로서의 면모도 갖춘다. 50만평 규모로 조성돼 고부가가치, 첨단산업을 유치할 양촌지방산업단지 및 파주LCD단지와 연계해 지식기반, 업무, 연구 중심의 자족기능을 갖춘 복합도시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업계에서는 김포신도시가 목동과 여의도 등 서울 서부 지역의 고급 주택 수요를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체 358만평 부지는 주거용지 117만4천평, 녹지 106만평, 상업업무용지 9만1천평, 도시지원시설용지 24만9천평, 공공시설용지 101만1천평으로 각각 활용된다. ◇ 분양은 언제 어떻게 진행되나 김포신도시에는 총 5만2천955가구가 건립되는데 ▲아파트 4만6천562가구 ▲연립주택 2천470가구 ▲단독주택 3천923가구 등으로구성됐다. 아파트는 규모별로 전용면적 25.7평 초과가 2만2천239가구로 전체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18-25.7평 1만4천227가구(31%), 18평 이하 1만96가구(21%) 등이다. 임대아파트는 총 1만4천981가구가 공급되며 이중 2천650가구는 전용면적 25.7평이상 중대형이다. 이중 가장 먼저 분양되는 물량은 신도시 중심에 위치한 장기지구(26만평)로 공동주택 3천982가구를 포함해 총 4천680가구가 내년 3월부터 순차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나머지 공동주택 4만5천여가구는 2009년 3월부터 1년간 공급되며 단독주택은 2010년 말부터 분양될 전망이다. 원가연동제가 적용돼 25.7평 이하 아파트는 10년간, 25.7평 초과 아파트는 5년간 각각 전매가 금지되며 25.7평 초과 아파트는 채권입찰제도 병행된다. 건교부는 내년 3월까지 택지개발예정지구를 변경 지정하고 2008년까지 개발계획및 실시계획을 확정한 뒤 2008년 3월 장기지구부터 입주를 시작해 2012년까지 신도시 개발사업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 투기 및 교통대책 김포신도시 일대는 이미 난개발 및 투기방지를 위해 지난 2003년부터 각종 규제로 묶여있다. 김포시 전역과 인천시 검단동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돼 일정규모 이상의토지를 거래할 때에는 지자체의 허가를 받아야하고 김포시 10개 동.면과 인천시 검단동은 건?및 개발행위에 제한을 받고 있다. 또한 김포시는 양도세가 실거래가로 부과되는 주택 및 토지투기지역, 분양권 전매가 금지되는 투기과열지구로도 지정돼 있다. 하지만 규모 축소 이후 침체됐던 이 지역 부동산경기가 다시 들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포지역의 만성적인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한 교통대책도 마련된다. 지하철9호선 김포공항역에서 신도시까지 연결되는 경전철(23㎞)을 2011년 12월 개통을 목표로 놓고 올림픽도로에서 신도시까지 연결되는 고속화도로(15㎞)도 2009년 12월까지 건설해 국도48호선의 교통난을 덜기로 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정진 기자 입력시간 : 2005/10/13 08:06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