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특파원 칼럼] 유엔은 한국 배우기 열풍

지난달 25일(현지시간) 맨해튼의 유엔본부 총회의장. 오영교 행정자치부 장관이 한국 정부의 혁신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해 연단에 올라서자 유엔 회원국 대표들은 열띤 박수로 그를 환영했고 15분 가량 진행된 연설 동안 숨소리를 죽여가며 경청했다. 연설이 끝난 후 회원국 대표들은 오 장관에게 악수를 청하며 한국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혁신 프로그램과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자기네 국가들에도 소개해줄 수 없느냐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오 장관은 유엔 측의 요청을 받아들여 행정자치부를 중심으로 한국 정부가 운영 중인 팀제 및 통합행정혁신시스템과 정부혁신지수(GII) 등 한국 정부의 혁신사례를 회원국들에 소개했다. 개별 국가가 정부효율성 프로그램을 유엔에서 발표하기는 처음 있는 일이었다. 지금 유엔에서는 한국 정부의 혁신 프로그램 배우기 바람이 불고 있다. 베트남은 한국 정부의 혁신 프로그램을 수입하기로 이미 한국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상태이며 멕시코 등 개발도상국들도 잇따라 혁신 프로그램 도입을 한국 정부에 요청해놓고 있다. 안토니오 오캄포 유엔 사무차장도 “앞으로 유엔이 주관하는 경제사회 분야 프로그램에 한국 전문가를 초청해 노하우를 배우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으며 내년 초 서울에 설립되는 유엔 거버넌스센터 설립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고 말했다. 유엔이 개별국가의 공공행정 개혁을 담당하게 될 유엔 거버넌스센터를 서울에 설립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은 그만큼 한국 정부의 투명성과 효율성이 유엔 회원국을 대표할 정도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는 반증이다. 세계는 지금 기업 투명성과 함께 정부의 투명성, 효율성도 같이 요구하고 있다. 과거 한국 공무원들이 밀실 행정과 급행료, 담합 등으로 부패의 온상으로 비아냥을 받은 것과 비교하면 정부 혁신이 빠르고도 효율적으로 진행돼왔음을 알 수 있다. 월가(街)의 한국 경제 전문가들이 약방의 감초처럼 한국 기업의 투명성 제고를 강하게 요구하고 있는 것과 달리 유엔 회원국들은 한국 정부의 투명성 노력에 탄성을 자아내며 한국 배우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몇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공무원들에 대해 철밥통ㆍ무사안일ㆍ연공서열 등 부정적인 수식어가 붙었지만 업무평가와 보상시스템을 축으로 하는 정부의 혁신 프로그램이 공무원의 이미지를 변화시키고 있다. 유엔본부를 출입할 때마다 한국 정부와 공무원들을 바라보는 유엔 관계자들과 회원국 대표들의 시선이 예사롭지 않다는 것이 피부로 느껴진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