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M&A 없던일로" 잇단 버티기

정부 대책에 되레 몸값 높아진 부실 저축銀<br>"대접 제대로 하라" 큰소리도<br>대주주 모럴해저드 도 넘어 "정부 시그널 확실히 보내야"


"그동안 매각협상을 진행하던 곳과는 협상을 종결했습니다. 경영정상화에 매달리느라 매각작업을 서둘렀다는 지적이 내부에서 제기됐습니다. 회사 가치가 높아지고 있는데 굳이 서두르지 말고 적정한 가격을 제시하는 곳을 찾기로 했습니다." (B저축은행 관계자) "최근 저축은행 두 곳 정도와 접촉해봤는데 턱없이 높은 프리미엄을 요구하더라고요. (저축은행 정상화라는) 정부 방침이 정해지니까 더 튕깁니다. 정부가 인수희망자와 매물을 모아놓고 딜을 해보라는 방식을 접어야 협상이 가능해집니다. 지금은 도저히 인수 추진이 안 되고 있습니다." (A금융지주사 고위관계자) 자산순위 상위에 해당하는 A저축은행은 연초 개인자산가와의 매각협상을 종결했다. 서두를 이유가 없다는 계산 때문이다. 이 저축은행은 건전성이 악화돼 금융 당국으로부터 지난해 8월 경영개선 권고를 받은 상황. 6개월이 되는 다음달까지 경영개선이 안 되면 금융 당국으로부터 일부 사업 매각, 경영진 교체, 증자 등의 요구를 받지만 현재 무척 느긋한 표정이다. 정부가 인수합병(M&A)을 위한 큰 장을 한꺼번에 열어주는 상황에서 '버틸 수 있을 때까지 버티면 몸값은 올라간다'는 것이 A저축은행의 계산이다. 대형 금융사와 협상을 진행하던 B저축은행도 비슷한 시기에 '가격이 맞지 않는다'며 협상 테이블을 거둬들였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말부터 최근까지 며칠 사이 저축은행 몸값이 최소 20%는 뛰어올랐다"며 "(저축은행) 가격이 너무 올라 인수하더라도 계륵이 될 것이라며 (인수희망자들이) 한발 빼는 모습"이라고 귀띔했다. 지난해까지도 적자경영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해 매각을 서두르던 저축은행들이 이제는 '대접을 제대로 하라'며 목에 힘을 주고 있다. 살 사람이 많으면 물건을 파는 쪽이 우위에 서는 것은 당연하지만 저축은행들의 태도가 돌변한 시점이 정확히 지난해 말 정부가 '저축은행 구하기'에 나서겠다고 발표한 뒤라는 점에서 뒷맛이 개운찮다. 금융지주사의 한 고위관계자는 "정부가 금융권의 팔을 비틀면서까지 저축은행 구하기에 나서자 일부 저축은행들이 도를 넘은 버티기를 하고 있다"며 "정부가 시그널을 확실하게 보내야 할 타이밍"이라고 말했다. 한마디로 '정리대상'과 '회생대상'을 명확하게 구분해 저축은행 대주주들이 지금처럼 '배째라식 버티기'를 하지 못하게 해야 거래나 협상이 진행된다는 이야기다. 그는 이어 "저축은행 정상화를 겨냥한 금융 당국의 바쁜 움직임이 오히려 저축은행 및 오너들의 모럴해저드를 부추기고 있다"며 "부실 저축은행이 자본력 있는 새 주인을 만나 정상화되기 위해서는 높게 책정된 저축은행의 매각 프리미엄부터 먼저 없애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