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교통난 완화위해 도시철도 확충을

수도권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서울 외곽과 도심을 잇는 도시철도의 총연장을 현재의 3배 수준인 1,500㎞로 확충하고 도시철도 노선간 상호 직통운행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또 수도권의 경의선과 중앙선의 복선 전철화, 하남과 김포 등 수도권 14개 노선에 대한 경전철 추진, 고양ㆍ구리ㆍ하남ㆍ김포ㆍ성남 등 도시철도 서비스 기능이 미약한 혼잡 간선도로에 버스전용차로 설치 등도 절실한 것으로 조사됐다. 교통개발연구원은 23일 서울 논현동 건설공제회관에서 개최한 '수도권 교통대책평가와 당면과제'라는 세미나를 갖고 수도권에서 서울도심으로 들어올 때 출근시간에도 도시철도 보다는 승용차를 이용하는 것이 평균 23% 빠르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연구원에 따르면 일산, 분당, 과천 등 수도권 주요 7개 지점에서 도심으로 들어오는 시간을 비교한 결과 일산 주엽에서 서울시청까지 오는데 도시철도는 85.2분, 승용차는 67분이 각각 걸렸다. 분당 서현-역삼 구간은 도시철도와 승용차가 각각 77.4분과 42.1분, 과천 범계-서울시청 구간은 도시철도와 승용차가 각각 72.1분과 58.6분이 소요됐다. 서울권과 외국 주요 도시권의 도시철도 평균운행속도를 비교해 보면 서울권은 39.5㎞/h(정차시간 포함)로 동경권(64.1㎞/h), 런던권(59㎞/h), 파리권(53.2㎞/h)등에 비해 시속이 14-25㎞나 떨어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원은 수도권의 광역도시철도 부족과 노선간 낮은 연계성 문제로 발생한 도시철도의 경쟁력 약화는 승용차 의존비율을 높여 도로혼잡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낳고 있다고 지적했다. 황상규 교통개발연구원 광역ㆍ도시교통연구실장은 "수도권의 광역거점 10곳에 철도, 경전철, 버스 등의 연계이용이 편리한 종합환승센터를 우선 건설해 도시철도와 도로교통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경부고속철도 광명역 연계철도도 조기 완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고광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