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체질 강화" 자금·인력·기술 중점 지원

[中企 체질강화로 글로벌 위기극복을] <상> 건강관리 시스템으로 생존율 높여<br>중기청 내년 예산 30% 배정… 부실기업은 업종전환·퇴출 유도<br>금융불안 대비 유동성 공급 확대


유럽발 재정위기로 중소기업 수출이 지난 3월 103억8,000만 달러에서 10월 96억1,000만 달러로 감소했다. 11월 기준 법인과 개인사업자를 포함한 부도업체 수는 130개로 7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글로벌 경제위기가 실물로 전이되면서 불황의 그늘이 점차 짙어지는 것이다. 글로벌 위기가 닥쳐오면 중소기업은 가장 먼저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대외여건의 악화에 대비해 선제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서울경제신문은 중소기업청의 내년 업무계획을 토대로 3회의 걸쳐 우리 중소기업의 대응방향을 점검해봤다. 중소기업의 업력별 생존율을 살펴보면 창업 7년차는 27%, 창업 20년차에 접어들면 9%에 불과하다. 사람이 건강관리를 통해 평균 17년 수명을 연장할 수 있듯이 중소기업도 '건강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체질강화와 생존율을 제고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영국의 경우 자문→교육→컨설팅→실행 단계의 제조자문서비스 프로그램(MAS)을 통해 생산성(25%)과 설비효율(45%)을 향상시키고 불량품을 26% 줄였다. 중기청은 진단→처방→치료의 3단계로 운영되는 문제해결 프로그램을 도입할 예정이다. 중소기업진흥공단 등 경영ㆍ기술 전문가 및 컨설팅 기관이 공동으로 중소기업에 대해 위기관리 진단을 실시하고 개선방안과 실천계획을 수립해 처방을 내리는 시스템이다. 실질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체질강화가 필요한 기업'에 대해서는 자금ㆍ기술ㆍ인력(산업기능요원, 외국인력 등 추천 우대) 등을 중점 지원하고 '부실기업'에 대해서는 사업전환 및 인수합병(M&A) 등을 지원해 업종전환 및 퇴출을 유도한다. 내년에는 금형, 주물 등 뿌리산업과 중소기업 적합업종 등 취약 업종분야 5,000개에 우선 실시하고 향후 중소ㆍ벤처기업으로 확산시킬 계획이다. 이를 위해 내년 중기청 예산의 30%를 건강관리 시스템 운영으로 편성했다. 중기청은 글로벌 금융불안에 대비한 위기관리시스템도 구축했다. 안정적인 유동성 공급을 위해 정책금융 71조7,000억원을 공급하고, 경영안전망 확충을 위해 매출채권보험 인수규모를 7조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정책자금은 녹색ㆍ신성장ㆍ문화콘텐츠ㆍ지식서비스 등 전략산업 분야에 70%가량 집중 배분된다. 공생발전 기업문화 확산을 위해 공공시장에 중소기업 참여도 확대된다. 중기청은 내년 상반기까지 현장실태조사, 공청회 등을 통해 공공구매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2억5,000만원 미만의 소액 물품ㆍ용역에 대해서는 중소기업과의 우선 조달계약이 의무화되고 대기업 등이 기업 분할해 설립한 중소기업은 중소기업자간 경쟁입찰 참여가 제한된다. 물품구매 계약시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하는 방안도 마련된다. 대기업이 중소기업에게 경영ㆍ기술 등에 대해 멘토링하고 중소기업을 통해 연방조달에 참여하는 미국의 멘토-프로티지(Mentor-Protege) 프로그램이 대표적 모델이다. 공공기관의 중기제품 구매를 제고하기 위해 중기청은 공공구매제도 이행 실태조사 대상 기관을 올해 50개에서 내년에 100개로 늘리고 구매실적 점검 대상기관을 499개 전체 공공기관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대표적으로 공공기관 청사 지방이전 공사에 대한 공사용자재 직접구매 이행여부를 중점 조사할 계획이다. 중기청 관계자는 "유럽발 재정위기는 지난 글로벌 경제위기 이상의 파장이 예상되는 만큼 선제적인 위기관리 시스템을 마련하고 중소기업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