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자산관리公, 저축銀 PF 부실채권 매입 '삐걱'

저축銀 "조건 까다로워 받아들이기 어렵다" 불만

자산관리公, 저축銀 PF 부실채권 매입 '삐걱' 저축銀 "조건 까다로워 받아들이기 어렵다" 불만 김영필 기자 susopa@sed.co.kr 자산관리공사(KAMCO)가 저축은행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대출 채권 매입작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매입조건 등의 문제로 출발부터 난항을 겪고 있다. 11일 금융계에 따르면 상호저축은행중앙회는 최근 자산관리공사의 PF 채권매입 대상이 될 수 있는 사업장을 분류해 개별 저축은행에 통보했다. 저축은행 업계의 고위관계자는 "주로 토지매입이 70% 이상 진행된 사업장을 대상으로 감정가의 70% 가격에 매입하되 현금은 70%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채권을 매입하겠다는 조건이 달려 있다"며 "특히 자산관리공사가 우량 사업장만을 대상으로 매입하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있기 때문에 이런 식이라면 채권을 팔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정 사업장을 지정해 추진되는데다 조건도 수용하기 어려워 '굳이 자산관리공사에 팔 이유가 있느냐'는 의견이 저축은행 업계에 확산되고 있다"고 전했다. 금융당국은 이달 초 자산관리공사를 통해 1조3,000억원 규모의 저축은행 부실 PF채권을 매입해주기로 했었다. 하지만 본격적으로 매입조건 등을 논의하기 시작하자 양측의 견해 차이로 마찰음을 내고 있는 셈이다. 특히 저축은행이 자산관리공사에 채권을 팔더라도 관리수수료 등으로 연 10% 내외의 비용을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저축은행 업계의 한 관계자는 "금융위원회나 금융감독원에서 매입조건 등을 조정하려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채권 매각이 가능한 PF 사업장은 양호한 경우가 많아 실질적인 지원이 되기 위해서는 조건 등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자산관리공사는 11일 이사회를 열고 저축은행의 부실 PF 채권매입을 위해 올해 공사채 발행한도를 7,500억원에서 1조2,500억원으로 늘렸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