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기업 대출금리 환경위험평가 반영

금융권 여신때 이자율 차등적용 검토… '녹색성장기업' 혜택 받을듯


은행들이 기업에 대출할 때 기업들의 환경위험평가를 실시해 차등적인 대출 금리를 적용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또 정부가 선정한 27대 중점녹색기술의 조기 육성을 위해 은행 여신을 포함한 정책적인 금융지원도 확대하기로 했다. 21일 금융계에 따르면 녹색금융협의회는 이날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에서 '녹색금융지원 업무 처리 가이드라인' 등 녹색기술 평가와 금융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제2차 회의를 열고 이 같은 의견을 모았다. 이날 협의회에서는 크게 ▦녹색금융의 해외사례와 시사점 ▦탄소배출권 거래시장의 해외사례와 시사점 ▦녹색금융지원 업무처리 가이드라인 ▦27대 중점녹색기술 평가 및 금융지원 방안 등 4개의 안건이 중점적으로 논의됐다. '녹색금융지원 업무처리 가인드라인'에서는 그동안 은행들이 여신심사과정에서 고려하지 않았던 기업의 환경위험평가 반영이 제시됐다. 기업의 녹색영향도와 환경개선도에 따른 금리우대 여부를 결정해 신용스프레드에 반영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녹색성장기업으로 선정된 기업들은 은행으로부터 우대금리를 적용 받을 것으로 보인다. 가이드라인을 작성한 이태희 삼일PwC컨설팅 박사는 "기존에 고려하지 않았던 기업의 환경위험평가를 은행 여신심사과정에 포함시켜 차등적인 금리를 적용하면 녹색성장기업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LED응용, 지능형 전력망, 2차전지, 실리콘 태양전지, 연료전지, 그린카, 친환경 건축, 개량형 경수로 등 기술력을 확보해 상용화 초기단계에 진입한 산업에 대해서는 은행여신을 포함한 민간의 적극적인 투자를 유도해야 한다는 방안도 제시됐다. 강경훈 국민은행 녹색금융경영추진단 사무국장은 "이미 기술력을 확보해 상용화 단계에 진입한 산업에 대해서는 성장동력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은행들이 나서 적극적인 여신지원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 사무국장은 이어 "기술개발 초기단계에 있거나 상용화까지 시간이 필요한 산업에 대해서는 신용보증 재원을 확대하는 한편 벤처캐피털을 통한 자금지원과 자본시장을 활용한 자금조달을 유도할 수 있도록 정부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