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수입 OEM 식품 유통기한 설정 부실

식품수입ㆍ판매업체가 주문자상표부착방식(OEM)으로 외국에서 제조해 전량 국내에서 판매하는 수입식품 상당수가 과학적 근거 없이 설정된 유통기한이 적용된 채 판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렇게 적용된 유통기한의 설정 근거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는 법적 절차도 마련돼 있지 않아 소비자 건강이 위협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9일 한국소비자원(원장 박명희)에 따르면 소비자원이 시중에 유통 중인 OEM 수입식품 153개를 대상으로 유통기한 설정 근거를 조사한 결과 130개(84.9%) 제품은 유통기한 설정을 위한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나마 유통기한 설정 근거를 제시한 23개 제품도 국내에 제품을 유통시킨 후 유통기한에 대한 실험을 했거나 자료 제출 요구를 받은 후 제조회사에 연락해 사본을 받는 등 식품 안전에 대한 사전 검증과 데이터 평가 절차가 부실했다. 문제는 식품수입업체에 ‘유통기한 설정 사유’를 물을 법적 근거가 없다는 것. 현행 식품위생법은 국내 식품제조ㆍ가공업자의 경우 품목제조보고시 ‘유통기한 설정 사유서’를 해당 관청에 제출하도록 하고 있지만 수입업체에 대해서는 이러한 절차를 따로 명시하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해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OEM으로 외국에서 가공해 전량 국내에서 판매하는 식품에 대한 ‘유통기한 설정 사유서’ 제출 의무화 방안을 관련 부처에 건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